2024.03.06 (수)

  • 구름조금동두천 4.1℃
  • 흐림강릉 1.8℃
  • 구름많음서울 4.5℃
  • 맑음대전 5.2℃
  • 구름많음대구 8.4℃
  • 흐림울산 6.8℃
  • 맑음광주 8.9℃
  • 구름조금부산 7.9℃
  • 맑음고창 6.7℃
  • 흐림제주 10.4℃
  • 구름조금강화 4.5℃
  • 맑음보은 2.9℃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8.8℃
  • 구름많음경주시 6.2℃
  • 구름많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경제일반

국제유가 끝없는 추락 우유·콜라보다 싸… 올해도 저유가 기조 이어질 듯

미국 자동차 연관산업 호황 vs 석유업체 파산보호 신청

1.jpg

국제유가 추락으로 미국의 일반 휘발유 평균가격이 2008년 이후 7년만에 처음으로 갤런당 1달러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유가 하락으로 인해 미국 자동차산업과 외식, 숙박업 등 관련업계가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난달 14일 미국 자동차서비스협회가 집계한 휘발유 전국 평균가격은 갤런당 2.01달러로, 2008년 7월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게다가 국제 원유 공급과잉이 현실화될 경우 1달러대 진입도 가능하다는 것. 현재 50개 주 가운데 25개 주가 이미 1달러대에 팔리고 있다.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우유와 스타벅스 커피보다 싸게 팔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격도 콜라보다 싸졌다. 지난해 12월 셋째주 기준 전국 주유소 평균 휘발유 판매가격은 ℓ당 1,434.8원으로, 코카콜라 1.5ℓ의 가격은 평균 2,648원으로 ℓ당 1,765.3원에 불과해 휘발유가 콜라보다 더 싸게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국제 원유가격 역시 국내 생수의 반값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18일 서부텍사스산 원유는 배럴당 34.73달러로,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인 삼다수 가격의 56%다. 하지만 국내 휘발유 가격이 원유보다 비싸고 추가비용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약 60%가 세금인 관계로 국내 휘발유 가격은 하락폭이 크지 않다. 원유 가격이 37% 떨어져도 한국의 휘발유 소매가격은 ℓ당 7.6%로 미미한 수준인 셈이다.

유가가 하락하면서 미국의 자동차 연관산업이 호황을 맞고 있다. 작년 11월 미 자동차회사의 판매량은 전달 대비 11% 증가해 증가율 기준으로 14년만에 최고기록을 갱신했다. 저유가가 계속 이어질 경우 지난해 미국 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1,819만대로, 종전의 1,750만대 기록도 갈아치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작년 판매자동차의 59%가 비싸고 기름을 많이 소비하는 차량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판매증가에 이어 외식업, 숙박업, 여행업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난방용 기름가격도 1년 사이 1달러 넘게 낮아지면서 소비자들이 난방비를 약 570달러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가운데 정작 미국의 석유관련 업체들이 연쇄적으로 파산보호 신청을 내고 있다. 큐빅에너지가 지난달 14일 델라웨어주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웰스파고 에너지 캐피털과 앵커리지 캐피털 그룹 관계사 등 채권자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넘겨주는 데 합의했다. 작년 1월 WBH에너지 등 유전 및 천연가스업체 3곳 이상이 이미 파산보호를 신청했었다. 특히 앞으로 저유가 기조가 이어질 경우 파산보호 신청 기업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jpg▲ 지난달 15일 서울 종로구 다이소 종각점을 찾은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값이 저렴한 생필품점, 커피점 SPA(유통제조 일괄) 브랜드의 인기가 높다. 하지만 국제유가 급락으로 인한 디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저가 열풍’이 디플레이션 조짐이 아니냐는 우려 또한 제기되고 있다.

국제원유 시장에서는 배럴당 27.74달러로 거래되는 등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이른바 치킨게임 양상마저 보이고 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 가격이 배럴당 34.53달러를 기록하면서 2009년 2월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라크는 배럴당 25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서부 캐나다산 원유는 22달러 이하로 거래되고 있다. 이번 1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가격 역시 3.5% 급락한 36.62달러로, 2014년 7월 배럴당 100달러 이상 거래대비 현재는 65% 이상 폭락하고 말았다. 이에 따라 에너지 기업들은 매출은 급감하면서 부채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달러 강세로 향후 국제 유가의 추가 하락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과거처럼 신흥국의 수요 역시 증가하기 어려워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석유관련 기업의 디폴트 발생이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 세계 1000개 이상 기업이 설비투자 비용을 줄이는 한편,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파산하는 업체들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올해에도 국제유가가 안정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모건스탠리는 분석보고서를 통해 내년 후반에도 유가상승 및 수급균형에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표적인 이유로 미국 셰일 석유의 저유가 내성과 OPEC 일부 중동회원국들의 증산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내전 종식을 앞두고 있는 리비아가 증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산유량을 늘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수요는 지금보다 더 둔화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 하락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