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광산업 정문 시민 기만 및 책임 이행 촉구 집회 사진.
(대한뉴스 김기준 기자) = 부산 금정구 구서동에 위치한 태광산업 폐공장 부지에서 WHO 지정 1급 발암물질인 폐석면이 장기간 방치되고, 기업 측의 약속 불이행과 일방적인 석면 처리 재개로 인해 시민 건강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이에 부산NGO시민연합은 14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강력 규탄 집회를 예고하며, 태광산업과 관리감독청인 금정구청을 맹렬히 비난하고 나섰다.
태광산업, '기업 갑질' 논란 속 합의 파기 의혹
시민연합은 태광산업이 지난 7월 토론회에서 약속했던 폐석면 개선 조치 이행을 지연시키는 것을 "부산시민을 우롱하고 무시한 처사"이자 "배째라는 식의 기업 갑질"로 규탄했다.

▲태광산업 모습.
특히, 태광산업이 긴급회의 합의를 무시하고 금정구청에 일부 구역만 석면 처리 신고를 한 뒤 주민 협의 없이 대기오염 행위를 재개한 '일방적 조치'는 '시민 기만의 극치'로 비판받고 있다.
부산 지역 석면 피해 심각성: 전국 석면 피해 구제 인정자 중 부산 거주자가 약 16.6%로 전국 두 번째를 기록하고 있어, 이번 사태는 지역 사회의 중대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금정구청 향한 '봐주기식 행정' 맹비난
부산NGO시민연합은 지도 감독청인 금정구청이 태광산업 문제에 대해 "봐주기식 행정으로 일관하며 사실상 책임을 방기하고 묵인"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금정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태광산업 부지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시민 안전을 외면하는 구청의 소극적인 태도는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부산NGO시민연합은 구청에 책임 있는 행정력 발동을 즉각 요구했다.

▲금정구청 앞 봐주기식 행정 및 책임 방기 비난 집회 사진.
강력 규탄 집회 전개... 공장 폐쇄 및 매각 촉구
부산NGO시민연합은 모든 책임이 태광산업에 있음을 명시하며,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한 전면적인 시민운동을 천명했다.
부산NGO시민연합을 비롯해 부산시민연합회, 한국환경보호운동본부 등 다수의 시민사회단체는 태광산업에 다음과 같은 조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현 공장을 즉각 폐쇄하고 도시재생사업을 조속히 시행할 것.
당장 부지를 매각하여 부산시민에게 환원할 것.
집회 일정: ▲2025년 11월 14일 (월) 오전 10시: 태광산업 정문 - '시민 기만 및 책임 이행 촉구' 집회 ▲2025년 11월 14일 (월) 오전 11시: 금정구청 앞 - '봐주기식 행정 및 책임 방기 비난' 집회
부산 시민사회가 태광산업의 무책임과 금정구청의 묵인 행정에 맞서 강력한 행동에 나선 만큼, 이번 사태 해결의 귀추가 주목된다.

▲성명서 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