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아내 호칭 뭐라고 부르시나요?

2024.06.01 16:37:34

정치인이 부르는 배우자 호칭, 호칭 때문에 기분이 좋을 수도~


사회가 변하고 사람들 관계가 다양해짐에 따라 호칭 예절도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개그맨 부부 중에 이혼한 커플이 없어서 제목이 ‘1호가 될 순 없어라고 했던 JTBC의 예능 프로그램이 있었다. 한번은 손지창·오연수 부부가 출연했는데 남편은 아내를 여보라고 부르고, 아내는 남편을 오빠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그 외 남편이 연하이고 아내가 연상이었던 부부는 처음에는 남자 쪽에서 아내를 누나라고 하다가 사랑을 확인하고 난 뒤에는 라는 표현도 했다고 한다. 또 다른 부부는 남편이 연상의 경우인데, 처음에는 여자 쪽에서 오빠라고 하다가 언제부터인가 라고 불렀다고 한다. 부부가 그 누구보다도 가깝고 허물없는 사이여서 서로 부르는 말도 자유분방한 면이 있다. 시대가 변해서 남편을 오빠’ ‘’, 아내를 누나’ ‘라는 호칭은 보기에도 듣기에도 좋지 않다. 시대적 변화에 따른 호칭의 예절에 대해 살펴봤다.

 

부부간의 호칭은 관계를 규정하는 것

특히 아이에게 혼란을 줘서는 안 돼 

국어사전에 오빠는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손위 남자 형제를 여동생이 부르는 말이다. 또는 남남끼리에서 나이 어린 여자가 손위 남자를 정답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다. 부부간에 부르는 호칭 몇 가지를 살펴보니 여러 가지가 있다. 오빠, 누나, ~, 자기야, 어이, 이봐요, 마누라, 심지어 아빠라고 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다른 것은 그렇다손 치더라도 오빠, 아빠 호칭은 맞는 것이 아니다. 관계가 진전되면 남자들은 힘의 균형을 찾으려는 듯 무의식적으로 연상의 아내를 ‘~ 라고 이름을 부른다. 여자들은 결혼 후 아기를 낳고서도 오빠호칭을 유지하기도 한다. 그것은 남자에게서 무의식적으로 보호자 역할을 요구하는 심리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사실 결혼했으니 새로운 호칭으로 불러야 하는데, 어색해서 쉽지 않다고 말한다. 문제는 아이가 태어나고도 이런 호칭을 쓴다면 가족 간에 어떤 관계를 지칭하는지 아이들에게 혼란이 생긴다. 호칭은 관계를 규정해 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초기에 장난처럼 하더라도 자꾸 시도하라고 조언한다. 덧붙여 집안 또는 편안한 사석에서는 여보라고 부르고 사회에서는 남편 또는 아내 직업에 맞는 호칭을 혼재해 사용해도 좋다고 밝혔다.

 

정치인 부부가 남들 앞에서 부르는 호칭은?

 

국어사전에는 여보는 어른이 가까이 있는 자기와 비슷한 나이 또래의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말이다. 또는 부부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부르는 말이다. 어원은 여기 보시오가 줄어서 된 말이다. 옛날에는 부부 사이가 지금처럼 허물없이 대하기에 어려웠고 지켜야 할 도리도 많았다. 그런 이유로 서로를 부르는 호칭도 마땅치가 않아서 낯선 사람 부르듯이 여보하던 것이 그대로 일반적인 호칭이 되었다.

 

이희호 여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3남의 이름을 붙여 홍걸이 아버지라고 불렀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부인 손명순 여사를 명순으로 이름을 불렀다. 이유는 그렇게 부르지 않으면 누가 이름을 불러주겠냐는 것이다. 권양숙 여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여보혹은 건호 아버지라고 불렀다. 김정숙 여사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재인 씨라고 부른다. 김혜경 씨는 이재명 대표를 공개석상에서 자기야라고 불러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사실 부부간 호칭을 꼭 어떻게 해야 한다고 정해진 바는 없다. 사람마다 가정마다 차이가 있지만 당사자가 서로 공감대를 이루는 선에서 부르기 편한 단어를 선택하여 부르면 그만이다. 부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존중하는 마음이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은 다름 아닌 호칭에서부터 비롯된다. 소중한 부부의 삶을 위해서는 호칭을 잘 가려 쓰는 일부터 해야 할 것이다.

 

시비 걸다가도 호칭 때문에 기분이 좋다? 

한 여성이 시장에서 서로 시비를 걸며 싸우는 남자들을 말린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중 한 아저씨가 화를 내며 에이 아가씨는 빠져요라고 했다. 그 여성은 40대 후반의 유부녀인데 몇십 년 만에 들어보는 호칭인지 순간 기분이 매우 좋았다고 했다. 언제부턴가 아줌마’ ‘아저씨’ ‘당신이런 호칭은 시비 걸기에 딱 좋은 호칭이 되었다. 우스갯소리인데 어느 여성은 시장에서 아줌마 이것 사세요라고 하면 절대 안 산다며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는데 아가씨라고 해주면 얼마나 좋아요라고 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나이가 좀 있는 중년 여성에게 아가씨라고 부르면 나를 놀리나라는 기분이 들어 찜찜하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도 있다. 70대 남성을 어르신이라고 불렀더니 얼굴색이 변했다. 그 남성은 그 말이 맞는데 많이 늙은 것 같아듣기에 불편했다고 한다. 일반적인 남자의 호칭은 선생님혹은 사장님이고, 여자의 호칭은 사모님혹은 여사님이다. 상점에서는 손님이란 말은 점점 줄어들고 고객님이란 호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식당 종업원은 여기요’ ‘저기요라고 부른다. 호칭은 표준이라는 엄격한 틀에 얽매이지 않고 서로를 배려하고 함께 소통하면 기분 좋은 호칭이 될 것이다.

 


대한뉴스(www.daehannews.kr/) - copyright ⓒ 대한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프로필 사진
조선영 기자

'정직,정론,정필'의 대한뉴스

PC버전으로 보기

㈜대한뉴스 | 03157 서울시 종로구 종로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1007-A | Tel : 02)573-7777 | Fax : 02)572-5949 월간 대한뉴스 등록 1995.1.19.(등록번호 종로 라-00569) | 인터넷 대한뉴스 등록 및 창간 2014.12.15.(등록번호 서울 아03481, 창간 2005.9.28.) 발행인 겸 편집인 : 김원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혜숙 Copyright ⓒ 2015 대한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