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구직자 10명 중 7명, 채용 공정성 신뢰 못해

2017.05.22 07:47:28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구직자 373명을 대상으로 ‘기업의 채용공정성 신뢰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77.5%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3.2%는 불공정한 조건이 실제로 채용 평가에 반영된다고 느낀 적이 있다고 밝혔다.


불공정한 채용 평가를 경험한 상황으로는 ‘내정자가 있는 듯한 채용을 봤을 때’(52.4%,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계속해서 ‘면접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관심이 쏠릴 때’(38.1%), ‘부모 배경 등 불필요한 정보를 요구당할 때’(33%), ‘특정조건 필터링, 우대 소문을 들을 때’(29.7%) 등으로 이어졌다.


또, 채용 과정에서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되지 않음’(52.8%, 복수응답)이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일부 자격조건으로 필터링’(38.1%), ‘합격자 발표 비공개 진행’(35.7%), ‘내정자 있는 채용 진행’(34.3%), ‘부모 능력 등 불필요한 정보 요구’(28.7%), ‘성별 등 바꾸기 어려운 요소로 차별’(20.1%) 등이었다.


구직자들이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평가 항목으로는 부모의 배경 및 학력’(2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연령’(20.6%), ‘인맥(추천인, 회사 내 지인)’(16.1%), ‘재산’(8.6%), ‘출신학교’(6.4%),‘학력’(5.4%), ‘신체사항’(4.8%), ‘가족 관계’(4%) 등으로 이어졌다.


기업의 채용 공정성 점수는 평균 51점으로 집계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점’(26.8%), ‘60점’(15.5%), ‘70점’(13.9%), ‘40점’(11%) 등의 순이었다. 또, 채용의 불공정성으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했다는 구직자는 무려 90.8%로 나타나 2014년(66.7%) 조사 대비 24.1%p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한편, 공정한 채용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채용 심사기준 공개’가 3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열린채용 시행’(20.1%), ‘서류 기재항목 간소화’(16.9%), ‘블라인드 평가 도입’(11.8%), ‘청탁에 대한 규제 강화’(8.6%), ‘체계적인 채용 프로세스 도입’(7.2%) 등으로 답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대한뉴스(www.daehannews.kr/) - copyright ⓒ 대한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대한뉴스 | 03157 서울시 종로구 종로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1007-A | Tel : 02)573-7777 | Fax : 02)572-5949 월간 대한뉴스 등록 1995.1.19.(등록번호 종로 라-00569) | 인터넷 대한뉴스 등록 및 창간 2014.12.15.(등록번호 서울 아03481, 창간 2005.9.28.) 발행인 겸 편집인 : 김원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혜숙 Copyright ⓒ 2015 대한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