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오는 9월까지, 더 많은 국민이 더 쉽고 간편하게 <문서24>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 한다.
현재 영유아보육, 일자리지원 등 5개 업무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하던 것을 올 9월부터는 정부의 모든 업무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서24> 서비스는 시작 1년 만에 한 달 이용량이 1만 건을 훌쩍 넘어섰고, 매달 30%씩 늘고 있다. <문서24>를 이용하면서 절차가 간편해지고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었다는 이용자들의 반응이다.
실제 1년여 간 운영하고 있는 한 지자체는 구내 어린이집에 <문서24>를 적극 안내하여 ‘영유아보육’ 업무에서 종이문서가 91% 이상 감소되는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또한, 국민과 행정기관 간 양방향 전자문서유통 체계를 마련하여 행정기관이 국민에게 보내는 처리결과 공문서도 온라인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정부의 비전자문서 접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연간 약 1,380만 건(2017년 기준)이 종이문서로 접수되었고, 약 1,390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문서24>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누리집을 전면 개편한다.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마련하고, 엑티브-엑스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폐지한다.
또한 핸드폰 인증 등 다양한 인증수단과 모든 웹브라우저를 지원하게 된다. 나아가 2020년까지 대국민 인지도가 높은 <정부24>와 연계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핸드폰 앱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서비스도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문서24>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국민은 <문서24> 누리집 (https://open.gdoc.go.kr)을 방문하여 사용자 인증 후 필요한 내용을 작성하여 발송하면 된다.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은 “그동안 마땅한 인터넷 창구가 없어서 방문 또는 우편으로 공문서를 제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앞으로는 모든 분야에서 국민과 정부가 온라인으로 공문서를 주고받게 될 것”이라며, “국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한 ‘열린 혁신 정부, 서비스 하는 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