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 한원석 기자)=시를 쓰면서 강단에 서 온 문학평론가 이영숙의 첫 번째 평론집 《야만의 시대기》가 출간돼 관심이다.
고도로 문명화됐기 때문에 야만에 빠져버린 이 시대에 문학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고민을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평론들은 텍스트의 내밀한 언어를 파악하는 동시에 사회학적 상상력을 시대와 연결하고 지향성과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영숙은 책머리에서 ‘시가 현실의 틈이나 사물의 배면, 감각의 음지에 자리한 인간의 감정과 윤리를 포착하는 장치를 내장한 생명체임을 안다’라며, 평론이 ‘시들이 내뿜는 시적 에너지의 모든 결을 포획하지는 못한다. 시가 지닌 긴장감과 침묵의 행간을 감각적이며 비유적인 방식으로 공명시키고 싶었다’라고 겸손을 내비쳤다.
평론집 《야만의 시대기》 제1부에서는 공간의 구조화된 방위를 사용하는 방식이 시적으로 달리 구현되는 지점 등을 통해 ‘시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제2부에는 이 책의 중심 주제로서 ‘야만’에 근접한 글들이 실렸다.
일테면, 과거의 동지와 현재의 동료를 적으로 만들어 부를 창출하는 게 정치가 된 현실에서 오로지 나만이 나의 진정한 동지가 되는 세계의 도래를 되짚어 본다.
제3부에는 문학이 미추를 길어 올릴 때 현실은 도덕을 외재하며, 문학이 세속에서 신화의 시간대를 지향할 때 현실은 신화를 세속의 시간대로 끌어내리는 현상 등을 다룬다.
문학이 ‘바깥의 대상’과 연결되려는 지점들이 그것이다.
제4부는 아우라와 이미지, 기원과 원본 등 시의 발화점을 드러내는 글이 수록됐다.
이영숙은 ‘평론가는 자신이 느끼는 시의 에너지를 독자들에게 공명시킨다.
태생적으로 야만이 되기 쉬운 구조를 가진 문명이 야만과 동의어라면, 역설적으로 야만의 시대는 다시 조화로운 문명으로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문학이 그를 위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하고 자문한다.
시인이자 평론가인 이영숙은 강원도 철원에서 출생해 서울예술대를 거쳐 중앙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문학예술》로 시, 2017년 《시와 세계》로 평론을 발표하며 등단했고, 시집으로 《시와 호박씨》 《히스테리 미스터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