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88명 늘어 누적 12만3천728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06명)보다 118명 줄었으나 최근 환자 발생 양상을 보면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면서 '4차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465명, 해외유입이 23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를 지자체별로 보면 서울 123명, 경기 129명, 인천 14명 등 수도권이 266명(57.2%)이다. 비수도권은 경남 44명, 경북 31명, 전남 24명, 울산 21명, 부산 16명, 전북 12명, 대구·충남 각 10명, 강원·충북 각 9명, 광주·대전 각 5명, 세종 3명 등 총 199명(42.8%)이다. 주요 집단발병 사례를 보면 울산 남구의 한 교회와 관련해 총 30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같은 지역 회사에서는 11명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남 양산시 식품공장(총 12명), 경기 하남시 교회(10명), 경북 경주시 마을모임(9명) 관련 집단발병 사례도 새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06명 늘어 누적 12만3천240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27명)보다 21명 줄었으나 최근 환자 발생 양상을 보면 전국 곳곳에서 일상 공간의 집단감염이 속출하면서 '4차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585명, 해외유입이 21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를 지자체별로 보면 서울 177명, 경기 140명, 인천 17명 등 수도권이 334명(57.1%)이다. 비수도권은 경남 61명, 울산 52명, 부산 31명, 경북 30명, 충남 16명, 광주 15명, 전북 12명, 대구·충북 각 10명, 대전 8명, 강원 4명, 세종·전남 각 1명 등 총 251명(42.9%)이다. 주요 집단발병 사례를 보면 직장,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감염이 잇따랐다. 경기 파주시 운송업-인쇄업(누적 11명), 충남 천안시 보험회사(8명) 등과 관련해 새로운 집단감염이 확인됐다. 또 울산의 한 교회 사례에서 현재까지 27명, 경남 양산시 식품공장과 관련해 총 11명이 각각 양성판정을 받았다.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1일 0시 기준 627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경기 파주시의 운송업 및 인쇄업체와 관련해 지난달 23일 첫 확진자(지표환자)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가족, 종사자 등 총 11명이 확진됐다. 이 가운데 운송업 관련이 8명, 인쇄업 관련이 3명이다. 기존 집단발병 사례의 감염 규모도 꾸준히 커지는 양상이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교회와 관련해 4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19명으로 늘었다. 또 서울 관악구 음식점 집단감염 사례의 누적 확진자는 25명이 됐고, 관악구 화장품 방문판매와 관련해서는 4명의 추가 감염이 확인돼 누적 24명으로 늘었다. 서울 댄스 연습실 관련 확진자는 현재까지 총 33명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지표환자를 포함한 수강생이 21명, 강사와 지인이 각 5명, 기타 사례 2명이다 비수도권 곳곳에서도 산발적 감염이 잇따랐다. 충남 천안시의 한 보험회사와 관련해 지난달 29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직원, 가족 등 총 8명이 확진돼 치료 중이다. 대전 유성구의 요양원 관련 확진자는 1명 더 늘어 19명이 됐고, 부여군 소재 노인복지센터에서는 11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일 0시 기준 661명이다. 600명 대, 매주 50명 씩 늘어나면서, 정부는 거리두기를 3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이 전체의 60%를 차지했는데 정부는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와 5인 이상 집합 금지 조치를 3주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휴일과 휴일 사이에 평일이 끼어있는 '샌드위치 연휴'가 격주에 걸쳐 가능해진 만큼 미리 3주간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못박아 둔 것이다. 5인이상 모임 금지에 이어 예외가 있는 가족 모임 관련 규정도 그대로 유지되며 직계가족 모임과 상견례를 할 땐 현재처럼 8명까지 가능합니다. 직계가 아니어도 6세 미만 영유아를 동반하면 총 8명까지 가능하지만, 이때 성인은 최대 4명까지다. 거리두기 단계가 조정될 것을 기대하고 가족 모임을 잡은 사람들은 아쉬움이 크다. 한편 혼자서 30분 만에 코로나19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진단키트는 30일부터 전국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9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80명 늘어 누적 12만1천35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773명)보다 93명 줄었으며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50명, 해외유입이 30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754명)보다 100명 넘게 줄었으나 여전히 600명대 중반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225명, 경기 176명, 인천 22명 등 수도권이 총 423명(65.1%)이다. 비수도권은 울산 46명, 부산 39명, 경남 38명, 경북 27명, 대구 18명, 충남 15명, 강원 12명, 충북 10명, 전북 9명, 광주 8명, 대전 4명, 제주 1명 등 총 227명(34.9%)이다. 주요 감염 사례로 서울에서는 관악구 한 사무실과 관련해 13명, 강남구 소재 학원에서 10명의 신규 확진자가 각각 나왔다. 감염병의 국내 유입 차단 역할을 하는 국립인천공항검역소에서도 직원과 파견군인 등 근무자 6명이 확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8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775명 늘어 누적 12만67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512명)보다 263명 늘었으며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754명, 해외유입이 21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57명, 경기 189명, 인천 19명 등 수도권이 총 465명(61.7%)이다. 비수도권은 경남 55명, 충남 38명, 울산 33명, 부산 32명, 대구·경북 각 27명, 충북 22명, 전북 13명, 광주·강원 각 11명, 대전 10명, 전남 5명, 제주 3명, 세종 2명 등 총 289명(38.3%)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운동시설, 교회, 직장 등 곳곳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다. 충남 천안의 한 자동차부품 제조사와 관련해 총 2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경기 성남시 운동시설 사례에서는 총 12명, 경기 광주시 교회와 관련해서는 총 10명이 각각 확진됐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 중인 가운데 26일 신규 확진자 수는 500명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00명 늘어 누적 11만9천387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44명)보다 144명 줄어들며 지난 20일(549명) 이후 6일 만에 500명대로 떨어졌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469명, 해외유입이 31명이다.
정부가 화이자 코로나10 백신 2000만명분을 추가 확보했다. 이에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 백신은 총 9900만명분이다. 이에 따라 접종 연령 확대와 3차 접종 대비가 가능해졌다. 정부는 24일 화이자와 코로나 백신 2000만명분의 추가계약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존 계약된 1300만명분과 합산하면 3300만명분이다. 화이자 백신은 현재까지 86.5만명분이 공급됐으며, 이를 포함해 6월 말까지 3500만명분이 공급될 예정이고, 3·4분기부터 2950만명분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계획이다. 화이자 백신 2000만명분을 추가 확보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백신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원활한 백신 공급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추가계약으로 정부가 확보한 백신 전체 물량은 9900만명분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9배,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접종 목표 3600만명의 2.75배에 대한 접종이 가능한 물량이다. 또한 국제적인 백신 수급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변이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3차 접종(일명 부스터 샷) 및 18세 미만 접종대상 연령 확대 등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수요 발생에도 대비할 수 있게 됐다. 화이자 백신은 현재 16, 17세 접종이 가능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797명 늘어 누적 11만7천458명이라고 밝혔다. 전날(735명)보다 62명 증가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758명, 해외유입이 39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전날(715명)에 이어 이틀째 700명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198명, 경기 290명, 인천 10명 등 수도권이 총 498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5.7%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경남 63명, 울산 38명, 부산 33명, 충북 29명, 경북 22명, 광주 16명, 강원 15명, 대구 12명, 충남 10명, 전북 8명, 전남 6명, 세종·제주 각 3명, 대전 2명 등 총 260명(34.3%)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전북 진안군에서는 가족 제사에 참석한 일가족 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서울·울산·대전 등에서도 가족·지인모임을 매개로 한 집단감염 사례가 잇따랐다. 기존 감염 사례 중에서는 서울 동대문구 음식점, 경기 성남시 분당구 노래방 관련 누적 확진자가 각각 71명, 90명으로 불어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735명 늘어 누적 11만6천66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보다 4명 늘었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715명, 해외유입이 20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 14일(714명) 이후 8일 만에 다시 700명 선을 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229명, 경기 217명, 인천 11명 등 수도권이 총 457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3.9%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경남 58명, 부산 35명, 울산 32명, 대구 24명, 강원·경북 각 23명, 충북 19명, 대전 13명, 광주 9명, 전남 7명, 전북 6명, 충남·제주 각 4명, 세종 1명 등 총 258명(36.1%)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서울 구로구에서는 빌딩 내 종사자를 중심으로 36명이 확진됐고, 경기 남양주시의 농구 동호회와 관련해선 축구 클럽까지 전파가 이어지며 누적 확진자가 29명으로 늘었다. 대전시의 한 시장에서는 상인을 중심으로 15명이 확진됐고 경남에서는 김해, 진주, 창원, 사천 등에서 기존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을 중심으로 감염 사례가 잇따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731명 늘어 누적 11만5천926명이라고 밝혔다. 전날(549명)보다 182명 늘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92명, 해외유입이 39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11명, 경기 225명, 인천 13명 등 수도권이 총 449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4.9%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경남 40명, 울산 39명, 부산 33명, 대구 25명, 충북 19명, 광주·대전 각 17명, 경북 15명, 강원 14명, 전북 8명, 충남 7명, 제주 6명, 전남 2명, 세종 1명 등 총 243명(35.1%)이다. 주요 발병 사례를 보면 일상 공간 곳곳에서 감염이 번져가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마포구 공공기관 및 은평구 음식점(누적 17명), 경기 김포시 대학교(10명), 광명시 중학교 급식실(11명), 성남시 계모임(13명) 등에서 새로운 집단발병 사례가 나왔다. 비수도권의 경우 광주의 한 어린이집에서 원생과 교사 등 7명이 확진됐고 경남 진주에서는 지인모임 관련 확진자가 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549명 늘어 누적 11만5천195명이라고 밝혔다. 전날(532명)보다 17명 늘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529명, 해외유입이 20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47명, 경기 184명, 인천 18명 등 수도권이 총 349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6.0%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부산·경남 각 29명, 울산 21명, 경북 20명, 강원 18명, 충남 16명, 충북 14명, 대구 12명, 대전 8명, 광주·전남 각 4명, 전북 3명, 세종·제주 각 1명 등 총 180명(34.0%)이었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일상 곳곳에서 감염 불씨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은평구 교회(누적 13명), 경기 하남시 음식점(14명), 오산시 화장품 제조업(17명) 등에서 새로운 집단발병 사례가 나왔다. 경북 구미 LG디스플레이 생산 공장과 관련해서는 전날 10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고 경남에서는 진주 지인모임, 김해시 보습학원, 사천시 음식점 등과 연관된 확진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72명 늘어 누적 11만4천115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58명)보다 14명 늘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49명, 해외유입이 23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02명, 경기 181명, 인천 19명 등 수도권이 총 402명이다. 수도권 확진자는 전날(440명)보다 소폭 줄었으나 전체 지역발생의 61.9%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경남 67명, 부산 30명, 경북 26명, 전북 21명, 울산 20명, 강원·충남 각 19명, 대구 13명, 광주 12명, 충북 10명, 대전 5명, 세종·전남 각 2명, 제주 1명 등 총 247명(38.1%)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수도권에서는 서울 강남구 공유 오피스(누적 11명), 지인 여행모임 및 직장(12명), 남양주시 교회 및 식당(15명), 안산시 전문학교(12명) 등에서 새로운 집단발병 사례가 나왔다. 비수도권의 경우 부산 유흥주점발(發) 집단감염의 누적 확진자가 476명으로 늘었고, 경남 김해에서는 지난 13일 보습학원을 중심으로 한 확진자가 처음 나온 뒤 20여명이 확진돼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7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58명 늘어 누적 11만3천447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73명)보다 15명 줄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30명, 해외유입이 28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13명, 경기 204명, 인천 23명 등 수도권이 총 440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9.8%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경남 36명, 부산 33명, 경북 28명, 울산 25명, 전북 15명, 강원·충북 각 11명, 대구 10명, 충남·전남 각 6명, 광주·대전 각 4명, 제주 1명 등 총 190명이다. 주요 발병 사례를 보면 가족·지인모임, 직장, 유흥시설을 고리로 감염이 잇따랐다. 전남 담양군 지인·가족모임과 관련해 지난 14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9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경북 구미시 상가 지인 사례에서도 8명이 확진됐다. 서울 서초구 한 직장에서는 4일 첫 환자가 나온 후 15명이 추가로 확진됐고, 광주 서구 소재의 홀덤펍에서는 종사자 6명이 잇따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법무부에서도 첫 확진자가 나와 법무부 공간 전체가 폐쇄되고, 1차 접촉자들이 격리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73명 늘어 누적 11만2천789명이라고 밝혔다. 전날(698명)보다 25명 줄었으며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652명, 해외유입이 21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15명, 경기 216명, 인천 11명 등 수도권이 총 442명으로 전체 지역발생의 67.8%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부산·경남 각 44명, 울산 24명, 경북 23명, 전북 15명, 충남 12명, 광주 10명, 충북 9명, 강원 7명, 대전·전남 각 6명, 대구 4명, 세종·제주 각 3명 등 총 210명(32.2%)이다. 주요 발병 사례를 보면 학교, 어린이집, 교회 등 일상 곳곳에서 감염이 잇따랐다. 울산 북구의 한 학교에서는 교사가 확진돼 학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한 결과 학생 6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다. 경기 일산 서구의 한 어린이집과 관련해선 교사와 조리사, 원생 등 6명이 확진됐다. 충북의 한 교회 사례에서는 지난 12일 이후 목사 부부와 자녀, 신도 등 현재까지 2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