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세종대로 옛 모습이다. 초라한 광화문 사거리의 모습이 6.25 전쟁 후의 실상을 잘 보여주며, 대한민국 한 복판에서의 미군 위세가 애잔하게 한다. 사진은 한국에 파병된 미군이 미국 군인의 날 기념식을 마친 후 시가행진을 하는 모습이다.
부처님 오신 날은 석가모니 부처가 태어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음력 4월 8일로 이 날에는 탄생불의 상을 여러 가지 꽃으로 장식하고 제등 행렬을 하는 등의 행사로 석가모니의 탄신을 축하한다. 지금 보면 초라하지만 당시로서는 화려했을 용을 얻은 제등 가마를 학생들이 메고 행진하고 있다. 세상의 모든 이들이 큰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길 기원한다.
어린이날 기념행사에서 초등학생들이 매스게임을 펼쳐 보이고 있다. 매스게임은 많은 사람이 맨손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집단으로 행하는 체조 및 율동으로 각종 체육대회나 중요 행사의 개·폐회식 때 관중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주로 실시된다. 아름다운 음악과 다양한 색채 및 대형의 변화를 통해 관중을 매료시키는 체조이지만, 한때는 의도된 주제를 가지고 문자나 그림 등을 표현하는 선동도구로 이용되기도 했다.
서울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제2회 영화인체육대회 (71. 4. 21) 한조가 되어 달리기를 준비 중인 고 신성일과 윤정희의 모습. 윤정희는 사극영화 밤샘 촬영을 하여 참석이 힘들었지만, 장동휘 황정순 등 선배연기자들의 부탁으로 잠시 촬영을 중단하고 참석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조여인 헤어스타일에다, 잠을 못자서 얼굴이 부었다고. 요즘에는 ‘아육대’가 있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아이돌들이 참가해서 육상, 리듬체조, 양궁 등의 경기를 펼치는 방송용 체육대회인데, 많은 인기 속에 화젯거리이다.
태극기 앞세우고 가두투쟁 벌이고 있는 시민들 (60. 4. 20) 시민들이 4.19 혁명 당시 태극기를 앞세우고 가두투쟁을 벌이고 있다. 4.19 혁명은 1960년 4월에 학생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반정부 민주주의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의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민주적 절차에 의한 정권 교체를 요구했다. 직접적인 원인은 3월 15일 실시된 자유당 정권의 불법·부정 선거였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탄압이다. 시위가 거세지자 4월 26일 이승만은 사임을 발표했고, 허정의 과도 정부가 수립됐다.
부산의 베니아 합판 생산공장인 성창기업의 목재 집하장 (65. 4. 19) 목재를 아주 얇게 켠 목재를 베니아판이라고 한다. 얇은 판을 겹으로 붙여 만든 합판은 잘 휘거나 부러지지 않아 건축이나 가구의 재료로 많이 쓰여 우리 일상에 획기적인 변화와 영향을 주었다. 또 우리나라는 오늘날까지 합판 제조기술이 매우 발달해 수입 원목을 가공한 합판을 외국에 수출하고 있다. 성창기업은 1916에 창업해 지난 100년간 합판과 마루판 등 목재관련 사업으로 한국경제에 기여한 기업이다.
통일로에 세워진 신의주, 평양, 개성 방향 이정표 (72. 4. 14) 통일로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 홍은4거리에서 시계를 지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에 이르는 도로이다. 1971년 12월에서 1972년 3월에 걸쳐 일부 구간(서울시계~임진각)을 고속화도로로 건설해 민족통일의 의지를 담아 통일로라 명명했다. 남북 철도 및 도로 연결을 추진하려는 노력이 한창이 현 시점에서 당시의 이정표가 이채롭고 정겹게 느껴진다.
서해안선 철도 기공식에 정일권 국무총리가 축사를 하고 있다 (67. 4. 12)
한국 어린이음악단이 미 군용기로 세계 순회공연에 나서고 있다 (54. 4. 7)
1970년 3월에 열린 제7회 청룡영화제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받은 허장강과 여우조연상을 받은 사미자가 상패와 트로피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남녀주연상은 박노식과 김지미가 받았다. 청룡영화제는 1963년 한국영화 진흥과 대중문화 발전을 위해 마련됐다. 1973년 영화법 개정 등의 영향으로 한국영화가 침체되면서 중단됐다가 17년만인 1990년 재개, 지난해 11월39회 청룡영화제로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