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씨는 우 수석의 장인인 이상달 삼남개발 회장의 친척이다. 이 회장 사망 이후에도 우 수석 처가의 재산관리에 관여해왔다. 그는 우 수석 가족이 리스한 마세라티 등을 법인 사업목적과 무관하게 개인적으로 사용하고 정강 법인자금을 생활비로 썼다는 횡령·배임 의혹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씨는 정강이 임대한 마세라티 차량은 우 수석 부인이 주로 탔으며, 정강이 리스한 차량을 부인이 이용한 것이어서 회사 사업목적에 반하지 않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우 수석의 의경 아들의 보직 특혜의혹, 우 수석 처가의 경기도 화성 땅 차명 보유의혹, 넥슨코리아와의 거래의혹 등에 관해서도 참고인 조사 등을 해오고 있다.
한편, 이석수 특별감찰관의 감찰내용 누설의혹을 파악하기 위한 증거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핵심 참고인들도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이 감찰관 및 조선일보 기자의 휴대전화를 압수해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에 맡겨 관련기록의 복원을 시도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검찰은 지난 8월 29일 압수수색과 공개수사에서 이 감찰관과 이 기자의 휴대전화를 압수했다.
검찰은 백방준 특별감찰관보를 6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감찰 누설의혹의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내부 문건이 대량으로 폐기됐다는 의혹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국정감사에서는 우 수석과 이 감찰관도 기관증인으로 채택됐다. 일반적으로 민정수석은 국감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지만, 야당에서 강력하게 요구한 데 이어 여당 내에서도 동조의견이 나왔기 때문이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2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더민주 조응천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이 이 감찰관의 사표를 수리하지 않는 데 대해 묻자 “사실이 무엇이냐에 대한 규명이 선행돼야 한다는 판단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넥슨 창업주인 김정주 NXC 회장도 불러 조사한다고 21일 밝혔다. 검찰은 김 회장이 참고인인 점을 고려해 비공개 소환할 방침이다.
우 수석 처가는 2011년 3월 강남역 인근의 부동산을 국세청 신고 기준 1365억원에 넥슨코리아에 매각했다. 넥슨코리아는 이듬해 1월 바로 옆 부동산을 100억원에 추가 매입한 뒤 두 부동산을 1505억원에 되팔았다. 표면적으로 140억원의 차익을 남겼지만 사실상 손해 본 거래인 셈이다. 두 사람을 진경준 전 검사장이 연결시켜준 의혹도 불거졌다. 진 전 검사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검찰은 또 우 수석 아들의 의경 보직 특혜 의혹과 관련해 이상철 서울지방경찰청 차장을 참고인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이상철 당시 경비부장의 운전업무를 맡았다가 작년 12월 서울청 차장으로 승진했다. 우 수석 처가의 경기 화성땅 명의신탁 의혹에 대해선 조만간 토지 소유주로 돼 있는 이씨의 소환일정 조율에 들어간다. 검찰은 이씨와 우 수석 처가 간 금전거래 여부 확인에 주력하고 있다.
21일 강만수 전 행장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제3자 뇌물수수 등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던 검찰은 영장이 기각되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검찰은 강 전 행장이 고교 동창인 임우근 회장이 경영하는 한성기업 측으로부터 억대 금품을 직·간접적으로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검찰은 기재부 장관과 산업은행장 재직 시기에 금품을 받은 행위에는 뇌물수수 혐의를, 민간인 시절 금품수수 행위에는 알선수재 혐의를 각각 적용하기로 했다. 그는 한성기업 고문 자격으로 경비를 간접 지원받기도 했지만 상당액은 현금으로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한성기업에 총 240억원대 특혜성 대출을 해준 과정에서 직접적인 지시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한성기업 측에서 받아온 금품이 실질적으로 포괄적 뇌물 성격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강 전 행장은 대우조선이 바이오 업체 B사에 2012년 B사의 연구개발 사업에 55억원 지원을 결정하고, 44억원까지 집행됐으나 강 전 행장이 퇴임하자 끊겼다. 사기 혐의로 B사의 김씨가 최근 구속되자 대우조선은 이 투자금을 모두 날리게 됐다. 강 전 행장은 대우조선해양건설이 종친 강모씨의 중소건설사 W사에 50억여원의 일감을 주도록 압력을 행사한 혐의도 있다.
이 밖에 주류 수입업체 D사의 관세분쟁에도 개입해 B사 대표 김씨가 3억 2500만원의 부당한 이득을 챙기도록 도운 혐의도 있다. 한편 검찰은 강 전 행장이 대우조선에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진사로 알려진 김씨를 비롯한 ‘낙하산 고문’의 억대 급여의혹은 처벌 대상이 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