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TRA(사장 김재홍)는 4일(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유라시아 프로젝트 로드쇼’를 개최했다. 이번 로드쇼는 러시아 극동개발부가 주최하는 ‘제 1차 동방경제포럼’과 연계해 추진됐다. 러시아 정부는 2013년 3월 ‘극동개발 정책’을 승인한 바 있으며, 지난해 3월 크림반도 병합으로 1년 이상 미국 및 EU로부터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극동지역은 러시아의 새로운 경제 활로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로드쇼는 연해주 및 하바롭스크 지역의 건설 및 환경 분야의 주요 프로젝트를 국내 기업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블라디보스톡 진출 및 동방경제포럼 참가 국내업체 20개사가 참가한다.
오전 세션은 ‘블라디보스톡 순환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약 10억 달러 규모)’의 건설 예정지를 직접 시찰한 후, 부시장이 국내 기업들에게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이 프로젝트는 시정부에서‘어니스트&영’에서 사전 타당성 검사를 받았으며, 재원 조달도 50:50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공공-민간 파트너십) 방식으로 추진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오후 세션은 ‘연해주 나제진스크 지역 폐기물 처리장 건설 프로젝트(약 3천 6백만 달러 규모)’와, ‘하바롭스크-치타시(市) 연결 외곽 순환도로 건설 프로젝트(약 8억 달러 규모)’가 소개된다. 두 프로젝트 모두 주정부 측에서 동 행사 참가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만큼, 이번 행사가 극동 러시아의 프로젝트 시장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는데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병택 KOTRA CIS지역본부장은 “러시아 루블화 폭락으로 對러 수출환경이 좋지 않은 이 시기에 프로젝트 진출 확대는 러시아 시장 공략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우리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과 맞닿은 러시아의 ‘극동개발 정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KOTRA는 러시아 소재 4개 무역관간 협업을 통해 우리 기업의 러시아 프로젝트 발굴 및 수주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러시아 재무부는 최근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인한 세수 부족으로 두 차례 이상 연방정부 예산을 다시 작성하면서도 ‘극동지역 개발’ 비용은 전년 대비 삭감할 계획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