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대한뉴스발자취

전체기사 보기
이미지

1957년 9월14일 AFKN-TV방송국 개국

AFKN은 한국 전쟁 서울 수복 직후 서울에 위치한 반도호텔에서 중파 라디오 이동 방송국으로 출발하였으며, 1957년에 부산에서 개국해 매일 4시간씩 방송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공중파 초단파(VHF) 채널 2번으로 송출했으며 컬러TV 방송, 위성 방송, 24시간 종일방송 등으로 한국 방송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62년 9월 2일 농촌마을에 설치된 공동목욕탕

목욕탕의 성장은 곧 우리나라 산업화의 역사이기도 하다. 1960년대 경제개발에 착수하면서 위생시설 보급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이 시기 정부는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목욕탕 설립을 추진한다. 삶의 질을 높인다기보다는 전염병 등 공중보건에 대응하는 측면이 컸다. 목욕은커녕 세수도 제대로 하지 못했던 시절, 비록 외관은 초라했으나 마을마다 입구에 ‘건강’이라는 문구가 적힌 공동목욕탕이 들어섰다. 노동회관에서도 노동자들을 위한 욕탕을 마련했다. 덕분에 위생에 대한 관념은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대한뉴스그때그시절- 1972년 8월20일 수해

1972년 8월19일 남한강일대에 많은 비가 내려 사상 초유의 극심한 피해를 안겨 주었다. 서울, 중부지방 및 강원도 일원에 내리기 시작한 폭우는집중호우로 변하여 서울과 수원 지방에 사상 최대의 강우량을 보였다. 19일 20일 양일간 서울 452.4mm(이는1907년 서울측우소 개설 이후 2일간 최대 강우),수원이 461.8mm를 기록했다.

대한뉴스 그때그시절-한강에서 즐기는 수영 1960년 8월 7일

1960년대 초까지 한강대교 인근 모래사장에서 수영을 즐길 수도 있었다. 둔치가 모래사장이었고 피서철에 한강에서 수영을 즐기는 모습은 매우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인구 유입이 계속되면서 각종 산업 시설도 들어서고 각종 공장에서 흘러나온 오폐수와 생활 하수가 한강으로 유입되며 한강의 수질이 나빠졌고, 수영도 금지되었다. 지금은 신고 후 수상레저는 이용가능하다.

대한뉴스 그때그시절-1962년 7월 한삼 모시를 삼고 있는 농촌 어낙네들

한산모시는 한산에서 만드는 모시로 예로부터 다른 지역에 비해서 품질이 우수하며 섬세하고 단아하여 모시의 대명사로 불리어 왔다. 모시생산은 모시풀 재배 및 수확→껍질[外皮]벗기기→태모시 만들기→모시째기→모시삼기→모시날기→모시매기→꾸리감기→모시짜기→모시표백(마전) 등의 순서로 이어진다. 50여년 전에까지도 집집마다 모시풀생산에서부터 모시짜기까지 자급자족했지만 요즘은 각기 분업으로 모시를 재배하여 태모시 만드는 사람, 째기와 삼아서 모시굿을 만드는 사람, 짜는 사람으로 나뉜다. 2011년 한산 모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뉴스 그때그시절 제헌절 1948년 7월17일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제헌 헌법)이 제정, 공포된 것을 기념하는 대한민국의 국경일로,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 지정하는 법정 국경일 가운데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