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로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소비재 분야에서는 2월 서울 코엑스에서 중국 전역 유통망 및 파워벤더 200개사가 참가하는 ‘한·중 FTA 종합대전’를 시작으로 중국내 한류바람이 거센 선양에서 ‘한류 상품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온라인 역직구의 증가 추세에 따라 중국 현지 ‘전자상거래 전담 물류지원센터’를 1개에서 4개로 확대*하고, 우리 수출기업의 최대 애로사항인 ‘반품 처리’를 위해 ‘반품 배송 대행센터(웨이하이, 상하이)’를 설치하는 등 B2C 지원에도 앞장서기로 했다.
또한, ‘非상품’ 분야 시장진출도 강화할 예정이다. KOTRA는 전체의 20%가 ‘非상품’ 분야 기업으로 나타나, 우리 기업의 진출 수요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 서비스분야 사절단 추진을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 중국 글로컬 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R&D 참여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화웨이, 하이얼 등 타겟 글로컬 기업 대상 연간 10회의 ‘단독 상담회’ 개최와 함께 1, 2차 협력 벤더까지 협력의 폭을 넓힐 계획이다. 한편, 최근 한국 기업과 협력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중국의 자본과 한국의 기술을 융합할 수 있는 투자유치 사업도 확대한다. 중국 상무부 및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15개 ‘주요 도시 순회 IR’ 및 ‘한국 투자가이드’ 발간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일대일로 및 지역개발 등 중국의 성장 방향이 2-3선 도시로 확산되는 추세에 맞춰 시장선점을 위한 노력도 강화한다. 시안, 충칭 등 내륙 소재 무역관을 중심으로 ‘유통망 연계 판촉전’을 개최하고, 난닝, 란저우 등 잠재시장 대상 시장개척 활동도 확대한다. 특히 무역관이 없는 지역의 시장개척을 위해 현지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연내 ‘이동무역관’ 15개소를 개설하여 인콰이어리 및 바이어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회의를 주재한 김재홍 KOTRA 사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중국 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지만, FTA를 기반으로 급성장하는 중국의 내수시장과 대형 프로젝트를 겨냥해 진출 전략을 모색한다면 ‘장풍파랑(長風波浪)*’과 같은 대반전의 기회가 올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