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중 올해 연봉협상이 완료된 342명에게 ‘연봉협상 결과’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올해 연봉이 인상됐다’는 직장인은 38.0%였고, 과반수이상인 58.2%는 ‘연봉이 동결됐다’고 답했다. ‘삭감됐다’는 응답자는 3.8%에 그쳤다.
평균 연봉인상률은 +1.3%으로, 이는 지난해 동일조사 평균 연봉인상률(+3.1%) 대비 1.8%P 낮은 수준이다. 올해 중소기업 직장인들의 직급별 평균연봉은 ▲사원급이 평균 2,649만원으로 집계됐고 ▲대리급은 평균 3,331만원 ▲과장급은 평균 3,825만원 ▲차부장급은 평균 4,329만원으로 집계됐다. 직급별로 연봉의 격차는 평균 560만원에 달했다.
올해 연봉협상을 마친 중소기업 직장인 중 절반정도는 연봉협상 결과에 ‘불만족’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연봉협상 결과에 ‘만족한다’고 답한 직장인은 12.0%로 10명중 1명에 그쳤고 '불만족한다'고 답한 직장인이 53.2%로 과반수 이상에 달했다. 연봉협상에 불만족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직급은 과장급으로, 59.6%가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반면 만족한다는 답변이 가장 높은 직급은 대리급으로 15.8%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올해도 현재 연봉협상에 대한 불만으로 이직을 결심했다는 직장인이 58.8%로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에 달했다. 이들에게 이직을 결심한 이유(*복수응답)를 조사한 결과, ‘기업의 비전과 성장가능성이 보이지 않아서’라는 답변이 응답률 4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복지제도에 대한 불만’(37.8%) 을 준비하는 직장인들이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연봉을 더 높이기 위해’(29.4%) 또는 ‘평가/보상에 대한 불만으로’(29.4%) 이직을 결심했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