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교육/노동

잡코리아 알바몬, 알바생 근속기간 돈보다는 사장님... 직장인은 손발이 척척 맞는 동료들과의 팀워크가 중요

알바몬 조사 조기퇴사사유.jpg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과 알바생들을 대상으로 근속기간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알바생들의 근속기간은 돈보다는 사장님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직장인들의 경우 팀워크 때문에 보다 오래 근무하고, 열악한 근무환경 탓에 조기 퇴사하는 등 더욱 복잡한 요건에 따라 근속기간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는 잡코리아를 통해 모집된 직장인 1,071명과 알바몬을 통해 모집된 알바생 1,256명 등 총 2,327명이 참여했다.
 
먼저 알바생들의 근속기간은 ‘사장님’이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알바생 중 78.8%가 ‘당초 계획보다 더 오래 근무한 적이 있다’고 답했는데 그 가장 큰 이유로 사장님이 꼽힌 것. 응답자의 17.4%가 ‘인간적이고 좋았던 사장님 덕에 오래 일할 수 있었다’고 답해 1위를 차지했다. ‘짭짤하고 만족스러웠던 급여’는 15.0%의 응답을 얻는 데 그쳐 사장님보다 알바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동료들과의 팀워크(14.3%)’, ‘쉽고 편했던 업무강도(11.8%)’, ‘흥미롭고 유익했던 업무내용(10.7%)’ 등도 알바생들로 하여금 계획보다 더 오래 일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손꼽혔다.
 
조기퇴사 경험이 있다고 밝힌 알바생은 72.8%. 이들이 조기퇴사를 결정한 이유 1위에 ‘비인간적이고 싫었던 사장님(21.4%)’이 꼽혔다. 2위는 ‘열악한 근무환경, 최악의 복리후생(18.2%)’이, 3위는 ‘너무 짜고 불만족스러웠던 급여(17.7%)’가 각각 꼽혀 전체적으로 알바생의 근속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사장님의 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잡코리아 조사에서 직장인의 70.5%가 ‘계획보다 더 오래 근무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의 장기근무 사유는 ‘손발이 척척 맞는 동료들과의 팀워크(17.5%)’가 가장 중요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땅한 다른 일자리가 없었다’는 응답도 15.8%로 적지 않았던 가운데 ‘흥미롭고 유익했던 업무 내용(14.1%)’, ‘만족스러운 급여수준(13.0%)’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알바생의 장기근무 사유 1위로 지목됐던 ‘인간적인 사장님’은 직장인에게서는 8.2%의 응답을 얻는 데 그쳐 7위로 나타났다.
 
조기퇴사 경험이 있다고 밝힌 직장인은 전체 응답자의 66.4%로 나타났다. ‘열악한 근무환경과 최악의 복리후생’이 20.6%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너무 짠 급여(15.5%)’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대체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는 업무내용(13.7%)’이 3위에 오르며 알바생과의 차이를 보였다. 여기에 ‘고된 업무강도(12.4%)’, ‘비인간적이고 싫었던 사장님(12.2%)’도 주요 조기퇴사 이유로 꼽혔다. 그밖에 ‘사측에서 먼저 해고를 통보해 와서’, ‘딱 마음에 드는 다른 일자리가 나타나서’, ‘그냥 어쩌다 보니’ 조기에 회사를 그만 두게 됐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한편 직장인들의 근속기간은 알바생들에 비해 평균 2.8배 가량 긴 것으로 조사됐다. 즉 알바생의 경우 2.5개월이라 답했으며, 직장인들은 7.0개월로 나타났다. 가장 오랜 근무한 기업에서의 근속기간을 묻는 질문에도 알바생들은 평균 15.2개월을 근무한 반면, 직장인들은 이보다 27개월 가량이 더 긴 평균 42.7개월의 기간을 근무했다고 답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