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구직자 1,720명을 대상으로 ‘취업콤플렉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직자 76%가 “취업콤플렉스가 있다”고 답했다. 구직자들이 주로 느끼는 취업콤플렉스는 다름 아닌 영어실력이었다. 전체 응답군 중 취업콤플렉스를 가장 크게 느끼는 응답군은 취업활동 경과 △6~9개월경으로 응답자의 82.5%가 “취업콤플렉스가 있다”고 답했다. 취업활동 취업활동 기간이 △1~3개월 미만의 응답자들은 69.6%만이 취업콤플렉스가 있다고 답했다.
성별 취업콤플렉스 여부도 △남성(68.2%)과 △여성(80.6%)의 비중차이는 약 12%P에 달했다. 출신학교 소재지별로는 △인천/경기지역 출신(80.0%) 응답자가 가장 많은 취업콤플렉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전문대졸(79.7%)에서 가장 높았다.
취업콤플렉스 1위는 ‘외국어실력(22.7%)’이었다. 2위는 ‘학력 수준(17.7%)’이 차지한 가운데 ‘나이(11.9%)’와 ‘출신학교(11.4%)’도 주요 콤플렉스로 작용하고 있었다. 학력이 가장 높은 △대학원 졸업 이상 구직자의 경우 ‘나이(26.4%)’를 가장 큰 콤플렉스로 꼽았다. △대졸자(27.9%) 및 △전문대졸(22.2%) 구직자는 모두 ‘외국어실력’을 가장 큰 콤플렉스로 꼽았다.
특히 ‘출신학교’에 대한 콤플렉스가 두드러진 것도 특징이었다. 즉 △서울소재 학교 학력자의 경우 출신학교에 대한 콤플렉스가 6.0%에 그친 데 비해 △지방소재 학교 학력자는 이의 3.7배에 달하는 22.0%가 ‘출신학교’를 콤플렉스로 꼽아 눈길을 끌었다.
취업콤플렉스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절반을 넘는 51.6%가 ‘취업콤플렉스로 인해 면접에서 실수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 콤플렉스로 인한 면접 중 실수(*복수 응답)로는 ‘목소리가 떨리고 말을 더듬었다(40.5%)’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동문서답을 했다(23.0%)’, ‘면접관과 시선을 마주치지 못했다(20.1%)’가 각각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답한 구직자의 82.7%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취업콤플렉스 극복노력으로는 ‘전공분야 자격증 취득’이 30.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스터디를 통한 면접상황 연습(18.2%)’과 ‘이미지 컨설팅(13.5%)’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그밖에도 ‘다이어트(12.5%)’, ‘독서(12.3%)’, ‘편입·진학 준비(7.8%)’ 등의 노력을 통해 취업콤플렉스 극복을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 김훈 상무는 “오랜 취업준비 시간을 거쳐 면접에 이르면 취업에 대한 콤플렉스가 나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구직자가 겪고 있는 문제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콤플렉스로 생각되는 부분을 만회할 수 있는 자신의 역량과 경쟁력을 중심으로 자신의 강점을 어필하는 태도로 임한다면 보다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라 조언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