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알바몬과 함께 올 상반기 면접 경험이 있는 취업준비생 1,553명을 대상으로 <면접장에서의 불쾌감 경험 유무>에 관해 조사를 실시했다. 우선, 남녀 취업준비생들에게 면접관의 언행 및 태도 등으로 인해 불쾌감을 느낀 경험이 있는지 질문하자, 구직자 10명 중 7명에 해당하는 74.5% ‘그렇다’고 답했고, 이러한 경험에 대해서는 여성 취업준비생들이 75.0%로 남성 취업준비생 73.8%에 비해 다소 높았다.
면접 시 불쾌감을 느끼게 한 면접관의 유형으로는(*복수응답) ‘반말하며 질문하는 면접관’이 응답률 33.2%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스펙과 경험 등을 보고 무시하는 면접관(24.5%) △결혼, 애인, 외모 등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면접관(23.7%) △연봉 처우 등에 대해 명확히 답변을 안 해주는 면접관(21.2%) △이력서를 처음 검토하는 듯한 면접관(20.7%) 등이 TOP5에 올랐다. 특히 결혼, 애인, 외모 등 면접관의 사적인 질문으로 인해 불쾌했다는 경우는 여성 취업준비생들이 30.5%로 남성 취업준비생들(13.9%)에 비해 무려 16.7%P나 높았으며, 남성들은 상대적으로 말자르는 면접관에 대한 불쾌감이 여성들에 비해 7.5%P 높아 차이가 있었다. 이 외에도 △답변하는데 말자르고 다른 질문 하는 면접관(20.6%) △면접 시 질문 한 번 안하는 면접관(8.2%) △면접도중 전화 받는 면접관(6.7%) △회사 자랑만 하는 면접관(6.1%) 등의 이유로 불쾌감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한편, 기업에 대한 비호감을 어떤 식으로 표현했는지(*복수응답) 질문한 결과, △해당 기업에 합격해도 입사하지 않았다는 의견이 응답률 40.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해당 기업의 나쁜 점을 알린다(34.2%)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피하거나 중단한다(28.9%) △해당 기업에 입사지원 하는 사람을 막는다(11.1%)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면접 과정 중 기분을 좋게 만들었던 면접관을 만난 경험에 대해서는 80.2%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이 선택한 면접관 유형으로는(*복수응답) △면접 내내 친절하고 따뜻하게 대해주는 면접관이 응답률 60.8%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연봉, 복지, 담당 직무 등 회사에 대해 궁금했던 것을 잘 알려주는 면접관(41.7%) △이력서와 자소서를 꼼꼼히 읽고 질문하는 면접관(21.5%) △지원자의 장단점에 대해 피드백 해주는 면접관(19.8%) △기업의 비전에 대해 자신감 있게 제시하는 면접관(12.7%) △업계, 취업에 대해 조언해주는 면접관(10.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여성 구직자들은 남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절하게 대해주는 면접관에 대한 호감이 다소 높았으며, 남성 구직자들은 기업의 비전을 자신 있게 제시하거나 자신의 장단점에 대해 조언해주는 면접관에 대한 호감이 여성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