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의 경영부실을 묵인해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검찰이 대우조선해양의 수조원대 분식회계와 전직 최고경영자들의 비리 의혹에 산업은행이 깊이 연루된 정황을 잡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지난달 8일 대우조선해양 서울 본사 압수수색에서 산업은행이 2012년 1월 발간한 경영컨설팅 보고서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이 보유하고 있던 2015년 감사원의 산업은행 감사 관련 제출자료도 함께 확보됐다. 이 자료들은 산업은행의 직무 책임과 관련돼 있다. 산업은행 경영컨설팅 보고서는 대우조선해양의 감사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산업은행은 보고서에서 대규모 손실을 막을 회사 내 감사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해놓고도 별다른 책임 추궁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1년당시에도 사업 부실 우려가 제기됐다.
감사원도 산업은행이 막대한 대우조선의 경영 부실을 묵인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감사를 벌이고 있다. 2015년 감사 관련 제출자료 역시 조 단위의 영업 적자를 가져온 해양플랜트 건조사업인 송가 프로젝트 등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산업은행의 관리 실태에 초점을 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과의 유착이 있었던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전날 특별수사단은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거제 옥포 조선소 등지와 함께, 김씨 등 대우조선해양 최고재무책임자를 지낸 2명의 주거지도 압수수색했다. 김 전 CFO등은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대우조선해양의 재무를 총괄했던 인물인 동시에 모두 산업은행 간부 출신이다. 산업은행은 내부 출신 CFO를 앉혔다. 법조계는 검찰이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와 경영진 비리 의혹은 물론 산업은행의 책임 소재를 동시에 규명하는 방향으로 수사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