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산업

한미 FTA 이후 한우농가 매일 45호씩 사라져

한우농가 연소득 1400만원


이미지 25.jpg
 

한미 FTA 이후 한우농가가 매일 45호씩 사라진 것 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7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 의 ‘FTA 시대 한우산업의 구조변화와 과제’ 보고서를 보면, 한우 사육호수는 2012년 15만 4천호에서 2016 년 8만 8천호로, 42% 급감했다. 한해 평균 1만 6500 호씩, 하루 평균 45호씩 한우농가가 사라지고 있는 셈 이다. 한우 사육 마릿수도 2012년 이후 매년 15%씩 줄었다. FTA 이전과 비교하면 감소폭이 훨씬 크다. 보 고서는 최근 한우가격 상승은 FTA 이후 한우농가들 의 폐업과 더불어 공급량이 점점 줄어드는 것과 연관 이 있다고 지적하고, 농가 경영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 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광우병 논란으로 한 우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고, 같은 해 한우농가는 18만 3천호로 늘었다. 공급량이 증가하자 한우가격이 내려 가 한우농가는 수지타산을 이유로 문 닫는 농가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다 2012년부터 한우농가들 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기 시작했고, 정부까지 나서서 암소 감축사업을 시행하면서 다시 공급량이 급 감했다. 여기에 한우 품질 고급화 전략 역시 가격인상 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우는 크게 5단계로 품 질이 나뉘는데, 1등급 이상 등급이 2012년 58.1%에 서 올해 4월 66.6%까지 늘어났지만, 최하위인 3등급은 14.1%에서 8.2%로 하락했다.

하지만 한우 가격이 오르고 송아지 가격도 덩달아 오르면서 생산비 지출 등으로 한우농가들은 여전히 경 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전국 36개 가축시장의 수송아지 거래가격은 394만원으로 전월동기대비 10.6% 올 랐다. 지난해 271만원과 비교하면 45.4%나 급등했다. 지난해 한우 1마리당 소득은 비육우 기준 약 130만원 이었다. 우리나라 평균 규모의 농가에서 한 해 11마리 정도 출하하는 점을 고려하면, 연간소득이 1430만원 으로, 한 달에 120만원도 안되는 수준이다. 이마저도 2011년부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됐다 지난해에서야 이전 수준을 회복했기 때문에 한우농가의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