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1일 삼성이 포브스가 선정한 2년째 아시아 최고부호에 올랐고, 현대는 12위에 올랐다. 포브스 아시아는 3대 이상 사업을 이어가는 아시아 가문 중 50대 부호를 선정한 결과, 삼성은 자산 296억 달러(34조4400억 원)로 아시아에서 가장 자산이 많은 가문에 올랐고, 작년에 이어 아시아 1위 자리를 유지한 삼성가의 자산은 작년 266억 달러보다 30억 달러 늘었다. 삼성 창업주인 이병철 전 회장은 1938년 대구에서 작은 무역회사로 창업해 세계 최대 스마트폰과 TV 제조업체로 성장했다고 포브스는 전했다. 범삼성가는 1990년대 삼성과 CJ, 신세계, 한솔로 분할돼 현재 2∼3세가 경영하며 연간 3천400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범현대가도 자산 145억 달러(16조 8700억 원)로 12위에 올랐다. 현대가의 자산 절반은 현대자동차 정몽구 회장과 외아들 정의선 부회장이 차지하고 있다. 정주영 회장이 1940년대 창립한 현대그룹은 2000년 현대자동차, 현대백화점, 현대중공업, KCC 등으로 분할돼 2∼3세대가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 부호 가문 2위는 세계 최대 동물사료·분뇨업체 차로엔 폭판드 그룹을 운영하며 자산이 277억 달러로 늘어난 태국 찌얀와논 가문이, 3위는 자산이 258억 달러로 석유가스업계 거물 릴라이언스 그룹을 운영하는 인도 암바니 가문이 각각 차지했다. 릴라이언스
그룹은 현재 창업주의 장남인 무케시 암바니가 이끌고 있다. 두 가문은 각각 통신업에 진출, 태국과 인도시장에서 4G 서비스를 도입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4위와 5위 가문은 홍콩에서 나왔다. 4위는 홍콩 순훙카이부동산그룹의 퀵씨 가문이, 5위는 홍콩 헨더슨 부동산그룹 리씨 가문이 각각 차지했다. 포브스는 올해 아시아 50대 부호 가문 전체의 자산은 5190억 달러로 이들 중 41개 가문의 자산이 전년 대비 늘었다고 전했다.50대 부호 가문에 들기 위한 하한선은 작년 29억 달러에서 올해 34억 달러(약 4조원)로 조정됐다. 50대 부호 가문 중 17개 가문은 인도 가문이다. 올해 50대 부호 가문에 처음 이름을 올린 4개 가문 중 3개도 인도에 있다.
그룹은 현재 창업주의 장남인 무케시 암바니가 이끌고 있다. 두 가문은 각각 통신업에 진출, 태국과 인도시장에서 4G 서비스를 도입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4위와 5위 가문은 홍콩에서 나왔다. 4위는 홍콩 순훙카이부동산그룹의 퀵씨 가문이, 5위는 홍콩 헨더슨 부동산그룹 리씨 가문이 각각 차지했다. 포브스는 올해 아시아 50대 부호 가문 전체의 자산은 5190억 달러로 이들 중 41개 가문의 자산이 전년 대비 늘었다고 전했다.50대 부호 가문에 들기 위한 하한선은 작년 29억 달러에서 올해 34억 달러(약 4조원)로 조정됐다. 50대 부호 가문 중 17개 가문은 인도 가문이다. 올해 50대 부호 가문에 처음 이름을 올린 4개 가문 중 3개도 인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