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은 냉면 마니아였다? Yes!
매운 것을 싫어하는 고종(1852~1919)이었지만 냉면만큼은 맛있게 먹었다고 전해진다. 특히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그는 겨울밤이면 야참으로 냉면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고기 육수에 편육, 배, 잣을 올려낸 '왕실 냉면'은 뜻밖에도 궁중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대한문 밖에서 사 온 것이다. 냉면을 사랑한 왕은 또 있다. 임유한의 '임하필기'에는 순조 (1790~1834)의 냉면 이야기가 나온다. 순조는 야심한 밤에 달구경을 하다 군직자들을 시켜 냉면을 만들게 한 후 같이 먹었다고 한다.
냉면은 다이어트에 좋다? Yes!
냉면다이어트는 일반 식사가 한 끼에 800Cal 내외인 점을 감안했을 때 한 끼를 냉면으로 먹으면 300~400Cal 줄일 있다는 데 착안했다. 실제 양념과 건더기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 100g을 기준으로 냉면은 400~550Cal 정도다. 물냉면이 가장 칼로리가 낮고 비빔냉면, 칡냉면, 회냉면 순서다. 같은 양의 메밀국수 칼로리는 물냉면의 30% 수준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비빔냉면은 염분이 많아서 고혈압 또는 심장병 환자의 다이어트식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냉면은 20세기 음식이다? No!
냉면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밝힌 기록은 1849년 '동국세시기'다. 여기에는 무, 배추, 동치미 국물에 메밀국수를 말아 돼지고기를 얹은 것을 냉면이라 한다. 냉면은 겨울철 절식으로 평안도가 최고라고 기록되어 있다. 1891년 왕실과 관청에 그릇을 납품하던 공납업자 지규식이 쓴 '하재일기'에도 냉면이 등장한다. 기록에는 여름용 직물이던 항라 한 펄이 삼십 냥이고, 냉면 한 그릇이 한 냥이었다는 내용이 있을 뿐 아니라 그가 여러 차례 냉면을 즐겨 먹었다는 내용이 있다.
냉면이 몸에 맞는 사람은 소음인이다? No!
냉면이 몸에 잘 맞는다고 생각한다면 소양인일 확률이 높다. 한의학에서는 소양인에게 냉면이 이롭지만, 소음인에게는 해로운 음식으로 여기는데, 이는 냉면의 차가운 성질 때문. 비장이 크고 신장이 작아 열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데 강한 소양인은 냉면을 먹으면 몸의 기운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건강에 좋다. 반면 신장이 크고 비장이 작은 소음인은 열에너지를 소비하는 경향이 강해서 냉면을 먹으면 몸의 찬 기운이 더욱 강해진다.
평양냉면은 전주비빔밥, 개성탕반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음식이었다? Yes!
'동국세시기'에 겨울철 음식으로는 메밀국수에 무와 배추김치를 넣고 돼지고기를 얹은 냉면을 먹는다고 소개했는데, 그중에서 관서 지방의 국수가 제일 맛있다고 했으니 이
그것이 바로 평양냉면이다. 조선시대에는 3대 음식으로 전주비빔밥, 개성탕반, 평양냉면을 꼽을 정도로 그 인기가 높았다.
냉면은 예부터 여름 인기 메뉴였다? No!
냉면은 겨울에만 먹을 수 있던 음식이다. 냉면을 한여름에도 먹을 수 있게 된 것은 냉장 기술의 발달 덕분,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처음 등장한 냉장고 덕분에 냉면은 겨울철 절식에서 여름철 별미로 효용가치가 급상승했다. 1920년대 서울에는 낙원동 평양냉면, 광교 백양루, 돈의동 동양루 등의 식당이 생기면서 서울의 모던보이, 모던걸들이 즐겨 배달해 먹는 별식으로 자리 잡았다. 당대 문학작품에도 냉면의 인기가 드러난다. 작가 김량운이 1926년 잡지 '동광' 8호에 발표한 소설은 제목부터가 냉면이다. 주인공인 기자가 전차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냉면이 먹고 싶어 내리려던 찰나 급한 마음에 "정차!"라는 말 대신 "냉면!"이라고 외쳤다는 이야기로, 당시 서울거리와 냉면집 풍경을 생생히 그리고 있다.
냉면 속 삶은 달걀은 조상의 지혜 덕분이다? Yes!
냉면에는 조상의 지혜가 담겨 있다. 가령 냉면과 함께 먹는 삶은 달걀은 단백질 섭취가 힘든 궁핍한 시대에 영양 균형을 맞추려는 고육책이던 것. 또한 냉면의 찬 성질을 보충하려고 뜨거운 성질의 겨자를 넣어 먹는 것도, 식초를 넣어 겨자의 향기를 보존하고 대장균을 죽인 것도 알고 보면 모두 조상의 지혜였다.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의 차이는 면발이다? Yes!
평양으로 상징되는 관허지방과 함흥으로 대표되는 관동지방의 구분만큼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은 확연하게 다르다. 그 근본적인 차이는 면을 만드는 재료다. 평양냉면은 메밀에 녹말을 섞어서 면발을 뽑지만 함흥냉면은 감자녹말로 면발을 만든다. 그래서 평양냉면은 면이 거칠고 찰기가 없어 쉽게 끊어지는 것이 특징이고, 함흥냉면은 질기고 오들오들한 맛이 매력이다. 겨울철에 먹던 냉면은 원래 메밀로 만들어야 제격이다. 함경도는 산이 깊고 지형이 험해 메밀이 자라지 않아 감자녹말로 국수를 만들어 독특한 맛의 함흥냉면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메밀이 아닌 감자녹말로 만들었기 때문에 함경도에서는 함흥냉면이라는 말 대신 감자녹말 국수 혹은 농마국수라고 불렀다. 광복 이후 남한에서 평양냉면이 유행하면서 그에 대칭되는 개념으로 함흥냉면이라는 말이 생겼다.
진주냉면은 기방문화와 관련이 깊다? Yes!
1994년 북한에서 발간된 ‘조선의 민족 전통'을 보면 ’냉면 중에 제일은 북쪽의 평양냉면, 남쪽에는 진주냉면이다’라고 소개한다. 진주냉면은 진주의 기방문화와 관련이 깊다. 당시 한양에서 내려온 한량들이 기생들과 어울려 술판을 벌인 후 선주후면(먼저 술을 마시고 난 뒤에 국수를 먹음)의 식사법에 따라 입가심으로 냉면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진주냉면은 해물 국물에 쇠고기 육적 고명을 쓰는 것이 특징으로 짭짤하고 진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