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종 박물관은 한국 범종의 유형·무형유산이 공존하는 국내 유일 종 전문박물관이다.
2005년 9월 개관한 이래 한국 종의 연구, 수집, 전시, 보존과 교육 등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코리안 벨(Korean Bell)이라는 학명이 있을 정도로 독창적인 양식과 예술성을 갖고 있다.
종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국내 유일 종 박물관
살아서는 진천 땅이 좋다는 뜻으로 진천은 물이 좋고 풍수적으로 살기 좋아 생거진천(生居鎭川)이라는 말도 있다. 또 진천 석장리에서 국내에서 가장 앞선 것으로 조사된 고대 철생산 유적지가 발견되었다. 진천 인근 지역인 청주 운천동에서 통일신라시대 후기의 범종이 출토되었고, 고려시대의 용두사지 철당간도 남아있다. 고대 유적 가운데 최대 규모의 제철로를 소유했던 진천에 금속 예술의 극치를 보여주는 범종의 문화를 기리는 종 박물관의 건립은 필연적 인연이라고 한다.
종 박물관은 범종을 모티브로 금속 구조물과 유리로 만들어졌다. 입구 바로 앞에는 생거진천대종이 있어 직접 타종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줄을 잡고 힘차게 종을 타격하면 엄청나게 웅장한 대종의 소리가 멀리까지 울려 퍼진다. 전시 공간은 총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는 종의 탄생, 한국의 범종 등을 관람할수 있다. 2층으로 올라가면 세계의 종, 범종의 제작 기술, 재미있는 종 등 우리가 흔히 볼 수 없었던 다양한종들을 볼 수 있다. 범종의 제작 과정을 알아보기 쉽게 미니어처로 제작해 설명하고 있어 말이나 글로만 보는 것보다 훨씬 생동감 있다. 제작 과정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아이들과 함께 견학하기에도 좋다. 특히 종 박물관에서 가장 인상적인 종은 바로 성덕대왕신종이다.
첫 전시실인 종의 탄생관 입구를 가득 채우고 있는 이 종은 국내에 실물이 현존하는 범종 중 가장 큰 종이라고 알려져 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범종은 절에서 쓰는 종으로 대중을 불러 모으거나 때를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종을 말한다.
범종을 만드는 방법
한국 범종은 제작 방식에 있어서 한국종만 갖고 있는 과학적인 요소들로 인해 신비한 소리를 낸다. 그 소리는 영혼을 깨우는 소리, 세상을 밝히는 울림으로 표현되고 있다. 범종을 만드는 방법은 밀랍주조법과 사형주조법 두 가지가 있다. 밀랍주조법은 밀랍과 쇠기름을 적당히 배합하여 범종의 모형을 만든다. 그 위에 진흙, 모래 등을 배합한 주물사를 씌우고 열을 가해 밀랍을 녹여내 거푸집을 만든다. 그 후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쇳물을 부어 주조하는 방식이다. 청동, 청동불상, 청동향로, 청동활자 등 섬세한 기물을 만드는데 용이하다.
사형주조법은 종신 단면의 절반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거대한 회전축을 이용하여 속과 겉 거푸집을 각각 제작한 뒤 하나로 결합하여 주조하는 방식이다. 겉 거푸집인 외형틀에 문양 조각판을 대고 두드려 문양을 찍거나 흙판을 끼워 주조하고자 하는 문영을 넣는다. 주로 철종을 만들 때 사용한다. 종 제작에 관한 기록이 수록된 명대 산업기술서 『천공개물(天工開物)』에는 ‘상급 종은 구리를 쓰고 하급 종은 쇠로 만든다’라는 내용이 있어 청동종을 좋은 종으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구리는 질이 우수하여 교역에 활용되었다. 특히 고려동은 질 좋기로 유명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후주(後周)가 비단 수천 필을 가지고 와 고려동과 교역하였고, 이듬해 다시 동 5만근을 수출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송·원나라와의 동 거래 또한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조선시대 사신으로 온 명나라 동월(董越, 1430-1502)이 조선 풍토에 관해 쓴 『조선부(朝鮮賦)』에는 “땅에서 나는 구리가 가장 단단하고 붉다. 곧 중국에서 말하는 고려동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그 우수성이 주변국에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