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12.1℃
  • 맑음강릉 -8.6℃
  • 흐림서울 -10.5℃
  • 맑음대전 -7.4℃
  • 맑음대구 -6.0℃
  • 맑음울산 -4.4℃
  • 맑음광주 -5.8℃
  • 맑음부산 -4.3℃
  • 맑음고창 -8.8℃
  • 구름많음제주 3.4℃
  • 흐림강화 -10.0℃
  • 맑음보은 -9.2℃
  • 맑음금산 -8.3℃
  • 맑음강진군 -4.0℃
  • 맑음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2.9℃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그때 그 시절

한강이 꽁꽁 얼면 생기는 일 1964년 1월 24일

 

겨울 한파하면 늘 뉴스에서 한강이 얼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강에 얼음이 언다는 것은 강추위를 그대로 대변해 준다. 한강의 결빙은 1906년부터 노량진 앞의 한강대교 남단에서 둘째와 넷째 교각 상류 100m 부근에 얼음이 어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즉 이 지점에 얼음이 생겨 물속을 완전히 볼 수 없는 상태를 한강의 결빙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한강에 다리가 없던 시절, 한강의 결빙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지점이 노들섬이었는데, 현재 이곳에는 기상청에서 세운 ‘한강 결빙 관측 지점’이라는 표지석이 있다.

프로필 사진
박배성 기자

'정직,정론,정필'의 대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