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8.0℃
  • 구름많음강릉 12.8℃
  • 서울 20.1℃
  • 흐림대전 19.6℃
  • 구름많음대구 13.9℃
  • 구름많음울산 11.6℃
  • 흐림광주 18.9℃
  • 흐림부산 13.5℃
  • 흐림고창 17.8℃
  • 흐림제주 20.3℃
  • 흐림강화 16.6℃
  • 흐림보은 15.0℃
  • 흐림금산 17.0℃
  • 흐림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1.0℃
  • 흐림거제 13.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생활문화 일반

농악, 이제는 세계인의 유산…유네스코 등재

27일 유네스코 등재 확정, 북한도 같은 날 '아리랑' 등재돼

   
▲ (사진= 대한뉴스 DB)

유네스코는 2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농악을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했다.

이제 우리나라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 당영등굿, 처용무(이상 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이상 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에 이어 총 17건의 인류무형 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농악은 농촌에서 집단노동을 할 때나, 명절 때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되는 우리 고유의 흥겨운 음악이다. 이번 유네스코의 등재 확정으로 농악의 악기연주 뿐만 아니라 춤과 노래로 농무와 관객이 하나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종합 예능으로서 의미가 있를 인정받게 됐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남북한의 무형문화재가 함께 등재됐다. 북한의 '아리랑'은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리랑 민요'라는 이름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앞서 2012년 대한민국은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라는 이름으로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