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폴크스바겐은 지난 23일까지 미국 환경보호청으로부터 1100만대의 차량이 리콜명령을 받았고 향후 최대 180억 달러의 벌금도 부과될 예정이다. 폴크스바겐 주가는 지난 21일 7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 사건으로 폴크스바겐이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회사 주가가 폭락하자 결국 23일(현지시각) 폴크스바겐 CEO가 사임을 발표했다. 전무후무한 디젤 사기 사태를 빚은 폴크스바겐의 마르틴 빈터코른 CEO는 “폴크스바겐은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며, "회사의 이익을 위해 사퇴한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도 서둘러 조사 의지를 밝혔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지난 18일 "폴크스바겐이 디젤 차량 배기가스 배출량을 의도적으로 조작했다"며 48만여 대에 대해 리콜 명령을 내린 지 6일 만에 우리 정부도 23일 독일 폴크스바겐 디젤차 4종에 대해 배기가스 배출량 재조사를 결정했다. 환경부는 "장치 조작 여부 등을 가리는 검사에 착수할 것"이라며 "장치 조작이 사실로 확인되면 자동차 인증 취소, 판매 중지 및 리콜 등 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발표했다. 국토교통부도 "연비 조사를 재실시할 것"이라고 했다.
국내 시민단체도 즉각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경실련은 22일 성명을 통해 “이번 사태는 소비자를 기만한 폭스바겐의 사기 행위”라며 강하게 규탄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도미노처럼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쌓아온 폭스바겐의 신뢰가 전 세계적으로 완전히 깨져버린 것이다. 한편, 수입차 업체들은 이번 사태로 인해 수입차 전체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이달 중순 2억원짜리 벤츠 소유주가 품질불만 및 교체불응 등을 사유로 벤츠매장 앞에서 골프채로 부순 사건이 있은 뒤라 수입차 업체들은 초비상사태에 들어갔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