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1 (수)

  • 구름조금동두천 5.7℃
  • 흐림강릉 4.5℃
  • 구름조금서울 6.3℃
  • 구름많음대전 6.9℃
  • 맑음대구 8.8℃
  • 구름많음울산 10.4℃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조금부산 13.5℃
  • 구름많음고창 7.0℃
  • 흐림제주 10.1℃
  • 맑음강화 5.9℃
  • 구름많음보은 4.7℃
  • 구름많음금산 6.8℃
  • 구름많음강진군 9.8℃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부동산

2017년도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21년 동안 한 푼도 안 쓰고 벌어야 서초구 주택 구입

서울시가 지난해 지자체 최초로 국토교통부와 공동으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5월 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 주거비 부담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자가 가구는 전체의 40%를 조금 웃돈 수준이었고, 최저주거기준에도 못 미치는 주택에서 살고 있는 서울시민도 8%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가구, 수도권·도지역에서 상승
17년 자가가구는 전체 가구의 57.7%로 16년 56.8%보다 0.9%p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16년에 비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별로는 저 중소득층은 16년보다 소폭 증가한 반면, 고소득층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보유율은 16년 59.9%에서 17년 61.1%로 1.2%p 증가했다. 수도권 및 도지역은 16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광역시는 16년과 동일한 수준에 머물렀다. 소득계층별로는 같은 기간 모든 계층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년 점유형태는 자가(57.7%), 보증금 있는 월세(19.9%), 전세(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6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17년에는 정체되어 60.4%를 나타냈다.



주거비, 수도권 거주가구 더 크게 부담
17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는 전국 5.6배로, 16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으며, 수도권이 6.7배로 광역시(5.5배)와 도지역(4.0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17년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월임대료 비율은 전국 17.0%로 전월세 전환율 하락 등으로 16년(18.1%)보다 줄어들었으며, 수도권이 18.4%로 광역시(15.3%)와 도지역(15.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는 17년 6.8년으로 14년 이후 주택마련 기간이 약 7년 내외로 유지되고 있다. 전체가구의 66.0%가 임대료 및 대출금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가구가 부담을 더 크게 느끼고 있고, 월세가구의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가구, 수도권이 상대적으로 잦아
17년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8년으로 전년 (7.7년)보다 소폭 늘어났다. 자가가구는 11.1년인 반면, 임차가구는 3.4년에 불과하고, 지역별로는 도지역이 10.3년으로 지방광역시(7.7년), 수도권(6.7년)보다 거주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가구 중 35.9%로, 16년 36.9%에 비해 소폭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40.0%로 지방광역시(35.2%), 도지역(30.3%)보다 상대적으로 주거이동이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자가주택 마련을 위해(25.1%), 시설이나 설비 상향(22.2%) 등의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거환경 만족도, 꾸준히 상승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06년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여 14년부터 5%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7년(5.9%, 114만 가구)에는 16년(5.4%, 103만가구)보다 소폭 증가했다.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7점(4점 만점)으로 16년(2.93점)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주거환경 만족도는 08년 이후로 꾸준히 개선되었으며, 17년의 항목별 만족도는 16년보다 소음문제, 편의시설, 문화시설, 공원 녹지 순으로 개선되었다. 17년 기준 국민의 82.8%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14년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다. 가구주 연령이 높아질수록 내 집 마련 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전세 구입자금 대출지원 가장 높아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가 구 를 대상으로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46.0%) 및 주택 개량 개보수지원(22.3%)을, 전세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2.0%), 전세자금 대출지원(27.3%), 월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26.6%), 월세보조금 지원(25.4%)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차가구의 57%는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저소득 임차가구의 공공임 대주택 입주의향은 62.6%로 높게 나타났다. 입주의향이 있는 가구는 공공임대주택의 낮은 임대료(61.5%), 주거안정성(21.0%) 등을 꼽았고, 입주의향이 없는 가구는 현재 주택에 만족(34.2%), 통근·통학거리(21.8%) 등을 꼽았다.



청년가구 10명 중 7명이 월세
청년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9.2%로 대부분 임차가구이며,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도 일반가구 (60.4%)보다 매우 높은 71.1%로 나타났다.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일반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은 18.9%로 일반가구(17.0%)보다 1.9%p 높고,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부담도 80.8%로 일반가구보다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가구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율(10.5%)과 지하 반지하 옥탑 거주비중(3.1%)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가구는 전월세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5.1%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전세가구 비중 높게 나타나

신혼부부의 자가점유율은 44.7%로 일반가구보다 낮은 반면, 전세가구의 비중은 67.8%로 일반가구(39.6%)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신혼 부부는 일반가구(48.6%)보다 크게 높은 72.4%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다. 주거비 부담은 일반가구보다 높았다.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은 19.6%,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부담은 78.3%로 일반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가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정책으로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을 응답(43.4%)했다. 가족계획시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주택마련 주거비 주택규모 등 주거문제(31.2%)를 1위로 응답했다. 이어 고려되는 사항은 양육 교육비용(30.6%), 가계경제 고용상태(19.1%) 등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필요
노인가구는 대부분 자가(75.3%)이고, 51.2%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주택 거주비율은 36.6%로 일반가구보다 높아 주택 개량 개보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비 부담은 명목상으로는 높지만, 실질적으로 높지 않았다.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이 31.6%로 일반가구(17.0%)보다 높았지만,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부담은 47.4%로 일반가구보다 18.6%p 낮았다. 노인가구가 가장 필요한 정책지원은 주택 개량 개보수 관련현물 및 자금 대출지원을 26.4%로 가장 필요하고, 가장 필요로 하는 주택개조 부분은 안전한 바닥재(37.6%), 주택 내 응급 비상벨(31.1%)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개조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큰 불편함이 없어서가 52.0%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경제적인 부담으로도 33.5%로 높게 나타났다.



저소득가구 월세 4명 중 3명
저소득가구는 자가점유율이 47.5%로 일반가구보다 낮으며,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이 75.7%로 높게 나타났다. 저소득가구의 주거비 부담은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이 22.2%로 일반가구보다 5.2%p 높게 나타났으며,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부담도 72.0%로 일반가구보다 6.0%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소득가구 1인당 주거면적은 37.1m2으로 넓지만, 가구당 주거면적은 일반가구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가구가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20.1%), 전세자금 대출지원(19.6%), 월세 보조금 지원(17.9%) 등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