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2 경주 지진 이후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경상북도는 4일 도청 회의실에서 관계공무원 등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 지진방재연구원 설립 타당성 연구용역’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이는 국가차원의 지진대응 시스템 구축과 지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조사를 수행해 나갈 국책연구기관 설립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도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전문연구기관 설립의 필요성과 역할, 해외사례조사, 설립여건 및 입지분석, 기대효과 등 국립지진방제연구원 설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진연구에 특화된 국가전문연구기관 설립 필요성을 강조하고 지진빈도가 가장 높고 원전이 집적된 경북 동해안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국민안전처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를 해왔다. 도는 올해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용역을 시작으로 본격연구원 설립을 위한 국비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원열 경상북도 도민안전실장은 “9.12 경주지진 이후 지진관련 정보의 부족과 지진대응 전문기관 부재에 따른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지진연구와 지진방재시스템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며 “현재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지진연구를 전담하는 기관이 전무한 실정에서 전문적인 지진관련 연구 및 지진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은 불가피 한 것으로 국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