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과기정통부와 한국 IT비즈니스진흥협회에서 추진하는 ‘국가디지털전환 공모사업’에 이어 과기정통부&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추진하는 5G이동통신, IoT네트워크 등 네트워크 신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사업’ 에 최종 선정 됐다.
이로 인해 시는 차세대 통신망인 5G 서비스와 4차 산업분야의 최첨단 네트워크 기술 융합을 통해 ‘시민이 행복한 스마트 시티’모델 달성에 날개를 달게 됐다.
시에 따르면 지난1월부터 경북도, 구미전자정보기술원, KT와 함께 스마트 시티분야 서비스 개발·실증을 위한 스마트 시티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구미시는 KT를 주관기관으로 경북도와 구미전자정보기술원(GERI) 등 총 9개 기관·기업이 협력해 본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사업에는 국비10억 원과 민간부담금10억 원 등 총20억 원이 투입된다.
이번에 실용화되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의 핵심 인프라인 5G이동통신, IoT망, SW기반 네트워크 기술의 2개 지능형 초연결망 적용 모델은 △ Edge 및 AI 기반 네트워크 서비스 △ IoT 기반 스마트 스페이스 Eco 서비스로 구성된다.
세부내용은 구미시와 구미전자정보기술원(GERI)은 KT와 함께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내 입주기업 대상으로 AI(인공지능) 네트워크 기반 Edge Cloud & Computing 서비스, ▲구미시 양포동 아파트 및 야외 공원 대상 5G 기반 Smart I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할 계획이다.
지능형 초연결망은 방대한 내용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술이고 향후 다양한 5G기반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개방형 IoT 플랫폼도 구축되어 스마트 시티 솔루션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무선통신 품질제고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안풍엽 구미시 정보통신과장(안풍엽)은 “5G 시대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SW기반 네트워크로 지능화가 필수적인 상황이고, 본 실증 사업을 통해 지능형 빌딩 및 초연결 스마트시티 솔루션 구축·운영 사례를 확보할 예정”이라며 “상용 솔루션이 정식 출시되면 본격적인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지능형초연결망: 5G이동통신, 사물인터넷망(IoT), 와이파이(Wi-Fi)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가 지능형기술을 기반으로 제어·관리되는 네트워크.
▷ Edge Cloud & Computing: 중앙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던 방식에서 Edge(가장자리)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멀리 있는 중앙 데이터센터로 보낼 필요가 없이 빠른 데이터 전송/처리 속도로 VR/AR, 자율주행 등 고속, 대용량의 빅데이터 기술 관련 컴퓨팅에 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