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장해순 기자) 한국미술협회(이사장 조강훈)는 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시상식을 진행했다. 이날 본상은 서양화 심죽자·윤명로, 한국화 강지주·오태학, 문인화 박종회, 서예 이돈흥, 조각 엄태정, 디자인 강병돈 등 8명이 수상했다. 또한 특별상 수상자는 원로작가상 오승우·이철명, 특별문화공로상 김원모·김정자·오유화·이제훈, 미술문화공로상 김선회·이인섭·이병국, 공로상 김배히·방두영·이창림·이승정·나안수(지역발전), 김미자(국제교류), 정예작가상 연제동·이금자·박영달·오명희·임환재·박정국·김양헌, 장리석미술상 최예태·배동환·서정민, 김형근미술상 구자승 등이 수상했다.
▲ (사진= 장해순 기자) 왼쪽부터 디자인 강변돈, 문인화 박종회, 조강훈 한국미술협회 이사장, 조각 엄태정,서예 이돈흥이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시상식에서 본상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본상은 서양화 심죽자·윤명로, 한국화 강지주·오태학, 문인화 박종회, 서예 이돈흥, 조각 엄태정, 디자인 강병돈 등 8명이다. 또한 특별상 수상자는 원로작가상 오승우·이철명, 특별문화공로상 김원모·김정자·오유화·이제훈, 미술문화공로상 김선회·이인섭·이병국, 공로상 김배히·방두영·이창림·이승정·나안수(지역발전), 김미자(국제교류), 정예작가상 연제동·이금자·박영달·오명희·임환재·박정국·김양헌, 장리석미술상 최예태·배동환·서정민, 김형근미술상 구자승 등 수상했다.
▲ 오른쪽 오명희 작가.(사진= 장해순 기자) 한국화오명희(오른쪽) 작가가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 열린‘제8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시상식에서 정예작사상을 수상받아기념촬영 하고있다. 이날 본상은 서양화 심죽자·윤명로, 한국화 강지주·오태학, 문인화 박종회, 서예 이돈흥, 조각 엄태정, 디자인 강병돈 등 8명이다. 또한 특별상 수상자는 원로작가상 오승우·이철명, 특별문화공로상 김원모·김정자·오유화·이제훈, 미술문화공로상 김선회·이인섭·이병국, 공로상 김배히·방두영·이창림·이승정·나안수(지역발전), 김미자(국제교류), 정예작가상 연제동·이금자·박영달·오명희·임환재·박정국·김양헌, 장리석미술상 최예태·배동환·서정민, 김형근미술상 구자승 등 수상했다.
▲ 오른쪽 김원모 대한뉴스 발행인. (사진= 장해순 기자) 대한뉴스 발행인 김원모 회장(오른쪽)이 5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제8회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시상식에서 한국미술협회(조강훈 이상장)로부터 특별문화공로상을 받았다. 이날 본상은 서양화 심죽자·윤명로, 한국화 강지주·오태학, 문인화 박종회, 서예 이돈흥, 조각 엄태정, 디자인 강병돈 등 8명이다. 또한 특별상 수상자는 원로작가상 오승우·이철명, 특별문화공로상 김원모·김정자·오유화·이제훈, 미술문화공로상 김선회·이인섭·이병국, 공로상 김배히·방두영·이창림·이승정·나안수(지역발전), 김미자(국제교류), 정예작가상 연제동·이금자·박영달·오명희·임환재·박정국·김양헌, 장리석미술상 최예태·배동환·서정민, 김형근미술상 구자승 등 수상했다.
12월3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성 슈테판성당앞에서 제야의 종이 울리면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왈츠곡‘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가 흘러나오고 서로 새해 복을 비는 마음으로 옆 사람들과 껴안고 볼키스를 한다. 그리고 1일 12시에는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연주홀인 뮤직페어라인 황금홀에서 전 세계에 생중계되는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신년음악회가 열린다. 이 음악회는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일가의 왈츠곡들로 구성되고 물론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도 연주된다. 제2의 국가라고도 불리는 이 곡의 작곡가인 요한 슈트라우스2세를 만나보자. ▲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초상화 어린시절 1825년 10월 25일,‘왈츠의 아버지’로 불리는 요한 슈트라우스1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요한은 처음에 그를 상업학교에 입학시켜 은행업을 배우게 했다. 16세 때에 퇴학을 당하였으나 아버지는 그 후도 계속 개인 수업을 통해 은행원이 되는 준비를 시킬 정도로 아들의 음악공부를 반대했다. 그러나 음악에 대한 집념이 강한 그는 아버지 몰래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웠다. 그것
지난 2일 아랍에미레이트에서 열린 APC(Asia Paralyimpic Committee) 스포츠 어워드에서 김성일 대한장애인체육회장이 특별상을 수상했다. 김 회장은 지난 10월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의 조직위원장도 겸해 왔었다. 특별상은 2014 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에서 우수한 경기력을 발휘한 국가에게 주어졌다. 2014 APC 정기총회 바로 전날 열린 APC 스포츠 어워드에서는 베스트 남자선수상, 베스트여자선수상, 베스트 남자청소년상, 베스트여자청소년상, 베스트 남자팀상, 베스트 여자팀상, 특별상 등 7개상에 대한 시상이 진행되었다.
▲ (사진= 대한뉴스 DB) 유네스코는 27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농악을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했다. 이제 우리나라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 당영등굿, 처용무(이상 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이상 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에 이어 총 17건의 인류무형 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농악은 농촌에서 집단노동을 할 때나, 명절 때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되는 우리 고유의 흥겨운 음악이다. 이번 유네스코의 등재 확정으로 농악의 악기연주 뿐만 아니라 춤과 노래로 농무와 관객이 하나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종합 예능으로서 의미가 있를 인정받게 됐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는 남북한의 무형문화재가 함께 등재됐다. 북한의 '아리랑'은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리랑 민요'라는 이름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앞서 2012년 대한민국은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라는 이름으로 인류무형유산에
▲ (사진=SK와이번스) SK 와이번스 소속 최정이 SK에 역대 최고 대우를 받으며 잔류하게 됐다.한국프로야구에서 자유계약선수(FA) 몸값 최고치를 경신하려면86억원을 돌파해야 한다. FA자격을 얻은 선수들이 원 소속구단과 협상 가능한 마지막 날인 26일 SK는 최정과 FA 계약을 맺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최정은 SK로부터 4년 계약하는 조건으로, 계약금 42억원, 연봉 44억원으로 총액 86억원을 받게 된다. 지난해 롯데와 4년 계약에 75억원을 받은 강민호를 넘어선 역대 최고 대우다. 한편, 최정은 5년 연속 3할 타율과 4차례 20개 이상의 홈런을 때린 실력파에, FA 선수 중 나이가 어린 편이라 그간 FA 시장에서도 최고 대우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있어왔다. SK는 "최정이 그동안 팀의 간판선수로서 모범적인 선수 생활을 했고, 앞으로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팬들의 사랑을 받는 프랜차이즈 스타라는 점을 반영했다"고 계약 배경을 설명했다. 계약 발표 후 최정은 "SK에서 10년 동안 뛰면서 선수, 코칭스태프와 정이 많이 들었다. 특히, SK선수들이 정말 좋았다. 그
올해로 10회째 맞는 대한민국 스포츠산업대상은 스포츠산업 발전에 기여한 우수 스포츠산업체의 사기를 진작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서의 스포츠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체육계‧학계‧언론계의 학식과 덕망이 높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가 선정되었다. 제주유나이티드FC가 스포츠산업 분야에서 최고 영예인 스포츠산업대상(대통령 표창)을 차지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는 ‘제10회 대한민국 스포츠산업대상’ 수상자를 확정, 발표하고 11월 26일(수) 오전 11시 30분, 서울 삼성동 코엑스 4층 컨퍼런스룸에서 시상식을 개최한다. 최우수상은 ㈜컬처메이커, 우수상은 ㈜케이엘에스와 디스커버리씨에스(주), 우수 프로스포츠단은 창원 LG세이커스 농구단, 우수 지방자치단체에는 충남 아산시와 충북 보은군이 선정됐다. 대상을 수상한 제주유나이티드FC(주)는 지난해 케이리그 클래식 6위, FA컵 공동 3위의 성적을 거두었고, 언론사 투표로 2013년 ‘팬 프렌들리 클럽상’을 최초로 수상했다. 특히, 독창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지역민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경기장 내 다양한 볼
클래식 음악 분야의 대표적인 전문시상인 ‘대원음악상’ 등을 통해 한국 클래식 음악 발전을 후원해 온 대원문화재단(이사장 김일곤)이 ‘2014 제15회 메세나대상(대통령표창)’을 수상한다. 한국메세나협회(회장 박용현)와 매경미디어그룹(회장 장대환)은 오는 11월 26일(수)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14 한국메세나대회’를 열고, 문화예술발전에 공헌한 기업과 기업인들을 포상하는 ‘메세나대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대통령표창인 메세나대상에 이어 후원 활동에 모범을 보인 기업과 개인에게 장관표창인 ‘문화공헌상’과 ‘메세나인상’은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 대표이사 권선주)과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이 각각 수상한다. 또한 ‘창의상(한국메세나협회장상)’은 KT(대표이사 황창규)가, 우수한 문화예술 결연 활동을 펼친 기업과 단체에 수여되는 ‘Art&Business상’(매경미디어그룹 회장상)은 엠엘씨월드카고(대표 박애자)와 캔파운데이션(대표 김성희)이 수상한다. 오후 5시부터 시작되는 메세나대상 시상